민초 이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68)
<민족의 영원한 자랑, 나의 친구 김 종국 회장>(중)
"베푼다는 것보다 인간에게 아름다운 미덕은 없을 것이다. 이 말은 인간이 할 수 있는 덕목 중 첫째로 꼽는 것이 대가 없는 희생으로 남에게 베풂을 주는 것이리라. 즉 베풂은 인간의 본능에서 우러 나오는 소유욕을 가지지 않는다는 무소유의 의미를 내포 하고 있다. 소유하지 않고 베풂에서 찾는 행복 ,이 얼마나 값진 일인가? 자기 가정의 몇 백년이 된 유물을 민족(民族)을 위하여 우리의 후손 들을 위하여 기꺼히 희사한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이 바로 괴헌 고택 가보를 국가에 기증한 나의 친구 김 종국 회장이다. 이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가. 나는 항시 생각을 한다. 내가 못하는 일을 하는 사람은 나의 친구가 아닌 어느 누구라 해도 항시 존경스럽게 생각을 하며 살아왔다.
나의 고향 영주시 순흥면 소수서원 선비촌에 가면 김 회장이 국가에 기증을 한 보물이 국보로 전시가 되어 있다. 소수 서원의 건립 유래를 보면 1542년(중종 37)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이 풍기 지방의 교화를 위해 이곳 출신으로 성리학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한 유학자 안향(安珦)의 사우(祠宇)를 세웠다가, 이듬해 1543년(중종 38) 사우(祠宇) 앞에 향교 건물을 옮겨다 재실을 마련하여 선비들의 배움터로 삼음으로써, 서원의 대체적인 골격이 이루어졌다.
이어 한양의 종갓집에서 안향의 영정을 옮겨와 봉안하고서 처음으로 이름을 '백운동 서당'(白雲洞 書堂)이라고 하였다. 이후 1545년(인종 원년) 에 안축(安軸)과 안보(安補)의 영정도 함께 배향하면서 백운동 서원(白雲洞 書院)이라 부르게 되었다.
소수서원은 국보 11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소수 박물관은 사적 55호로 정해져 있고 여기에는 안향의 영정이 걸려 있다.
그후 1549년(명종 4) 퇴계 이 황이 풍기 군수로 부임해 와서 서원의 격을 높이고자 송(宋) 시대의 예를 언급하며 국가에서 서원에 대한 합법적인 인정과 정책적인 지원을 해줄 것을 당시 경상도 관찰사 심 통원에게 요청, 1550년(명종 5)어전회의에서 좌의정 심연원(심통원의 친형)의 주청으로 마침내 당시의 국왕이었던 명종은 친필로 소수 서원(紹修書院)이라 사액(賜額)을 내리고, 아울러 《사서오경》과 《성리대전》등의 서적, 노비도 하사했다. '소수(紹修)'는 "이미 무너져버린 교학을 다시 이어 닦게 했다(旣廢之學 紹而修之)"는 데서 온 말이었다.
소수서원의 역사적인 관점은 대략 이정도에서 마치며 김 회장이 기증을 한 그의 몇백년이 된 가보(家寶)가 전시된 건물은 하기와 같다. 이 건물 밖 현관에는 괴헌 고택의 기증품 전시관이란 현판이 붙어 있다. 행여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이 있다면 이 소수서원 선비촌 박물관과 천여년 이상을 영속하는 부석사를 꼭 방문하여 우리 조상님들이 남겨놓은 전통문화의 유산을 꼭 관람하라고 건의를 해본다.
▲소수서원 전경. 이 건물의 현관문에는 괴헌 고택의 가보를 국가에 기증한 국보111호의 귀중품이 전시되어 있다.
토론토 영락교회 송민호 담임목사
<세상이 이기지 못한 사람들> 저서 출간
▲송민호 목사와 저서
송민호 토론토영락교회 담임목사가 아픔을 겪는 기독 청년들 위한 책 '세상이 이기지 못한 사람들'을 출간했다.
이 책에는 ▶젊은 시절부터 아픈 몸에도 불구하고 버려진 인도 아이들을 보살핀 에이미 카마이클 ▶부모에게 버림받고 조선에 와 간호사들을 길러 낸 서서평 ▶일찍 목회자로 부임해 교인들에게 배척당했으나 설교자들의 롤모델이 된 찰스 시미언 등 10명 인물의 삶을 그렸다.
저자인 송 목사는 지난 2004년부터 영락교회 담임목회를 맡고 있다. 키르키즈스탄, 캄보디아, 도미니카공화국 등에서 선교활동을 펼쳤으며, 저서에 '선교적 교회로 가는 길' '사회적 신앙인의 발자취’(공저) 등이 있다.
민초 시단
민초 이유식 시인
-제야의 종소리, 신년시
-2021년을 맞이하며-
두들겨서 울지 않는 자 있으랴
그 울음소리 깊은 시름 속에
희노애락을 토해내었지
밤 낮의 변화 속에서도
언제나 변치 않는 너의 숨소리
미지의 세속에 아름다움이 있고
침묵 속에 희망을 뿌려주는 너
깊고 얕고 넓고 좁은
아득한 역사가 또 먼 길을 떠난다
보이지 않는 심장을 찾아
사랑과 그리움의 메아리 남기며
희망의 새날을 찾아 길을 떠난다
가자 가자
자유와 정의의 종소리 울리는 곳
우리 모두 두 손 잡고 같이 가자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같이 가자
-민초 이유식 2020년을 보내며
민초 시단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64
<유랑하는 영혼의 연가, 2020년을 보내며>
<<1>>
내 영혼이 당신의 곁을 떠난지 반세기가 가까워 오네
생각하면 많은 연륜이 지났건만 헤어졌슴이 어제와 같은데
당신의 모습이 그리워 90여회 이상을 자네를 찾았었지
만나보면 시들하고 헤어지면 그리움만 남겨주는 자네
가끔은 내 신세 한탄을 하며
당신을 미워도 했지
당신이 이 알버타 주가 가진 것의 십분의 일만 더 가졌어도
나는 이방의 나그네가 되지 않았으리라는 독백을 하며
펑펑 울어도 보며 술잔에 자신을 팽개친 적도 있었지
그렇게 세월은 흘러 흘러 황혼빛에 태양은 물들고
이제 갈 곳 모르는 낭인이 된 나를 당신은 모른 척하네
나에게 이상理想을 주신 신이여
모국어로 당신을 불러도 대답이 없는 사람
혹한의 북극 나목에 걸린 나뭇잎 하나 설레이는 미소로
당신의 싸늘한 품안을 그려 본다네
외로운 나뭇가지로 스며드는 엷은 햇살
수 많은 별들이 심금을 울리며 바람으로 날아간다네
이는 나의 절규이고 뼈저린 슬픔의 희열喜悅일세
나의 자화상은 기쁨일까 사랑의 웃음일까
나의 뇌리에 아롱지는 명암明暗의 교차로에 서 있다네
잡을 듯 하면서도 잡을 수 없는 새 한마리
만날 수도 없고 만나도 말 한마디 못 하는 나의 서러움
그리움을 안고 태평양을 넘나들면서 고함을 쳤었지
그대 나를 잊지 말라고 혼자 수 많은 말을 했다네
때로는 당신이 밉고 당신답지 않는 행태에 실망도 했었다네
그러면서도 흰 옷을 입었었고 흰 옷 입은 사람을 만나면
무작정 무엇이고 주고 싶고 받고 싶은 정감
나 혼자 주절거려 보는 사랑의 대화를 나누었지
받지도 못할 사랑 그 사랑에 혼자 불을 태우며
영원히 시들지 않는 사랑스런 미소만 남긴 당신
<<2>>
70년 대가 시작할 때 미화 200불을 들고
이방의 뒤안길을 행상과 고물장사를 하며 피 눈물을 흘렸고
80년 대가 떠나 갈 때에는 애국 애족을 한다며
세계 각 곳을 미친듯 뛰어 다니며 바가지 욕도 먹어 보고
90년 대가 떠나 갈 때에는 무역을 한다며
나이제리아와 카매룬의 항구에서 외로움을 달래며
청진동과 무교동 낙지집과 강남의 곰바위 곱창집에서
소주잔을 기울이며 빛 바랜 이방인의 슬픔을 노래했지
2천년대를 맞이하여 민족문화의 영속과 정체성을 지속코자
나에게 걸맛지 않는 해외동포문학상을 제정하여
삶의 참 뜻을 찾고자 6대주를 방황을 했었지
2010년대는 인생살이 헛것이다 헛것이다를 외치며
회한과 뼈아픈 황금노을을 예찬하며 목 놓아 울어도 보았지
간다 간다를 나 혼자 외치며
다뉴브 강. 스칸디나비아 강과 나라. 유럽의 샛강과 터어키의 강
러시아의 볼가강 등을 바이킹 유람선을 타고 방랑을 했었다네
내가 좋아하는 톨스토이의 생가와 묘소를 참배하며
장미 꽃 한송이 올려 놓고 허무의 생존에 치를 떨었었지
이제 2020년대 마지막 장의 달력을 뜯으며
나의 생명이 얼마나 지속할까하는 냉엄한 현실 앞에
내가 바보였구나 소월의 시 모양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
그 이름을 그리는 바보임을 알면서도..................
그러나 나의 영혼은 오랜동안 당신만 그리며
나의 얘기에 꽃을 피우며 다른 사람 다른 나라 사람들은
아랑곳 하지 않고 방랑의 아련한 시련을 이야기 했었지
당신과 남의 나라를 비교하면서 내가 정말 별것 아님을 알았고
자네도 별것 아닌 한 추상임을 알았을 때
화살처럼 빠른 세월 앞에 멀고 먼 나라에서
명분도 없이 죽어 가는 국제 미아가 되어
겨울 나목의 나뭇가지에 당신의 따스한 웃음을 보았네
어쩌다 당신의 눈길이 스치면 밤잠을 잊으면서
돌려다오 내 인생을 돌려달라며 눈물 한 방울 떨구며
내가 맞이할 2030년대가 있을까에 각혈을 하지
오 ! 그리움이여
나의 사랑과 희망이 그림자로 남아 있는 당신이여
영원한 나의 사랑 당신이여
20년 12월 서사시 한편 남긴다 민초
*작가 이문열 씨와 함께…
*토론토 서이삭 피아니스트 제자 유명 콩쿨대회 우승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서이삭씨가 미국 뉴욕에서부터 가르쳐온 미국의 제자 유진 홍(Eugene Hong) 군이 미국의 유명한 2021 Young Arts 내셔널 콩쿨대회에서 영예의 대상과 함께 상금 1만 달러를 수상했다.
현재 고교생인 홍군은 서이삭 피아니스트로부터 요즘 인터넷 온라인으로 레슨을 받고 있다.
혜민스님 ‘美 뉴욕 아파트' 구매 의혹 보도에 “창피하고 부끄럽다”
"크게 반성하고, 중다운 삶 살겠다"…삼청동 자택 떠나 모처 머물러
'남산뷰' 자택 논란에 이어 미국 뉴욕 아파트 구매 의혹이 불거진 혜민스님이 3일 반성한다는 내용의 입장을 뒤늦게 밝혔다.
혜민스님은 언론사에 "이번을 계기로 제 삶을 크게 반성하고 중다운 삶을 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식 승려가 된 후로 미국 뉴욕 브루클린 아파트를 구매·보유한 의혹이 있다는 전날 연합뉴스 보도에 대해 입장을 내지 않았던 것을 두고 "제 삶이 너무 창피스럽고 부끄러워서 솔직히 좀 무서워서 답신을 바로 못 드렸다"고 해명했다.
다만, 해당 아파트가 자신이 구매해 보유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앞서 연합뉴스는 '라이언 봉석 주(RYAN BONGSEOK JOO)'라는 인물의 부동산 등기 이력 문서를 분석한 결과 그가 2011년 5월 외국인 B씨와 함께 뉴욕 브루클린에 있는 N 주상복합아파트 한 채를 약 61만 달러에 사들였다고 보도했다.
라이언 봉석 주는 미국 국적자인 혜민스님의 미국 이름이다. 그의 출가 전 속명은 주봉석이다.
자신이 대표이자 명상 앱인 '코끼리'를 출시한 주식회사 마음수업의 법인 등기부에는 대표이사로 '미합중국인 주봉석(JOO RYAN BONGSEOK)'이 기재돼 있다.
이런 취재 결과를 토대로 라이언 봉석 주와 마음수업의 대표이사이자 승려인 혜민스님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점쳐진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혜민스님은 현재 서울 종로구 삼청동 자택을 떠나 모처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지난달 29일부터 시작한 석 달간의 집중 수행인 '동안거(冬安居)'에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그는 11월 16일 '남산뷰' 자택 공개 뒤로 '풀(full)소유' 논란을 빚자 "모든 활동을 내려놓고 대중 선원으로 돌아가 부처님 말씀을 다시 공부하고 수행 기도 정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974년생인 혜민스님은 청소년기를 국내에서 보낸 뒤 미국으로 넘어가 하버드대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프린스턴대에서 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7년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햄프셔대에서 종교학 교수를 지냈다. 2000년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아 예비 승려가 됐고, 2008년 직지사에서 비구계를 수지하고 대한불교조계종의 정식 승려가 됐다.
2012년 낸 명상 에세이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을 낸 뒤로 독자들의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이 책의 누적 판매 부수는 300만 부를 돌파했고, 전 세계 26개국에 판권이 수출됐다.
방탄소년단, 한국어 곡으로 빌보드 싱글차트 첫 정상
신곡 '라이프 고스 온' 핫 100 1위 데뷔…62년 차트 역사상 처음
메인 앨범·싱글차트 동시 석권 기록도…BTS "언제나 아미 여러분 덕분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1007451075?section=international/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