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ph Lee Joseph Lee

I exercise religiously

*<오늘의 Survival English>

*“의사 선생님이 나보고 운동을 빠짐없이 꾸준히 하라고 조언했어요”

이민사회에서 종교(교회)의 역할은 매우 크지요.

꼭히 신앙생활을 떠나 외로운 이민자들끼리 서로 교류하고 친교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죠.

저는 신앙심이 깊지는 않지만 주일미사는 꼬박꼬박 출석하는 편입니다.

아시다시피 종교는 religion인데, 부사인 religiously는 ‘종교적으로, 신앙심 깊게’ 라는 뜻도 있지만,

일상에서는 마치 종교 의식을 지키듯이 ‘규칙적으로, 꾸준히, 성실히, 꼬박꼬박”의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1,“I read Survival English religiously every morning. It’s really helpful”

(저는 매일 아침 Survival English를 꼬박꼬박 정독해요. 그게 정말 유익해요)

*이 말을 잘 익히셔서 주변에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ㅎ..

2,“He checks his emails religiously every morning”

(그는 매일 아침 꼬박꼬박 이메일을 확인하지요)

3,“Do you still go to the gym these days?

(당신 요즘도 헬스장에 다녀요?)

“Yeah, I go religiously every morning at 6”

(그럼요, 매일 아침 6시에 꼬박꼬박 가죠)

4,“I watch that show religiously every Sunday night”

(나는 그 프로그램을 매주 일요일 밤마다 꼭 챙겨봅니다)

5,“How often do you take your vitamins?”

(비타민은 얼마나 자주 먹나요?)

“Every day, religiously”

(매일 꼬박꼬박 챙겨 먹습니다)

6,“Do you still call your mom often?”

(아직도 엄마한테 자주 전화해요?)

“Of course, I call her religiously every Sunday”

(당연하죠, 매주 일요일마다 꼬박꼬박 전화해요)

7,“How do you stay so fit?”

(당신은 어떻게 그렇게 건강을 유지하나요?)

“I follow my diet plan religiously”

(식단을 꼬박꼬박 지켜서 그런가봐요)

8,(I’m telling you: 정말이에요, 진짜라니까)

“That restaurant can’t be that good”

(그 식당이 그렇게 좋을 리가 없어요)

“I’m telling you, it’s the best in town”

(진짜라니까요, 동네에서 제일 맛있어요)

9,“You’re exaggerating again, aren’t you?”

(당신 또 과장하는 거죠?)

“No, I’m telling you the truth”

(아니요, 정말입니다)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10,“I don’t think she likes me”

(그녀가 나 좋아하는 것 같지 않아요)

“I’m telling you, she totally does”

(내 말 믿어요, 그녀는 당신을 완전 좋아해요)

11,(I doubt it: 글쎄, 아닐걸)

“Do you think he’ll actually show up this time?”

(이번엔 그가 정말 올까요?)

“I doubt it. He’s always late or cancels last minute”

(글쎄, 아닐걸요. 그는 항상 늦거나 막판에 취소하잖아요)

12,“Maybe she forgot your birthday by accident”

(아마 그녀가 실수로 당신 생일을 잊은 걸지도 몰라요)

“I doubt it. She never forgets things like that”

(아닐걸요. 그녀는 절대 그런건 안 잊는 사람이거든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You have to pay upfront

*<오늘의 Survival English>

*“우리 처음부터 확실히 해둡시다”

Upfront(업–프런트)는 좀 어려운 단어이지만 일상에서 꽤 많이 쓰는 말입니다.

무슨 고가의 물품을 사거나 거래를 할 때 보통 ‘미리 선불을 내다’의 뜻으로 자주 쓰지요.

이 뜻 말고도 ‘솔직한’ ‘사전에’ 등 다양한 의미로 활용됩니다.

오늘은 이 upfront와 함께 돈 거래에 대한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선불의, 미리 내는= in advance)

“They asked for half the payment upfront”

(그들은 대금의 절반을 미리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2.“We don’t charge anything upfront. You pay only if we succeed”

(저희는 선불 요금이 없습니다. 성공할 때만 지불하시면 됩니다)

3,“Do I have to pay anything upfront?”

(미리 돈을 내야 하나요?)

“Yes, there’s a $100 deposit required before starting”

(네, 시작 전에 100달러 보증금을 내야 합니다)

4,(솔직한, 숨김없는= honest, direct)

“I like how upfront she is about her mistakes”

(그녀가 자신의 실수를 솔직하게 인정하는 게 마음에 들어요)

5,“To be upfront, I don’t think this plan will work”

(솔직히 말해서, 이 계획은 성공할 것 같지 않아요)

6,“I appreciate you being upfront about the extra fees”

(추가 요금에 대해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요)

“No problem. I always like to be transparent with clients”

(괜찮아요. 저는 고객한테 항상 투명하게 말하는 걸 좋아하죠)

7,“Let’s be upfront. We can’t finish this by tomorrow”

(솔직히 말하자면, 이거 내일까지 못 끝낼 것 같아요)

“Yeah, it’s better to tell the client now than later”

(맞아요, 나중보다 지금 고객에게 말하는 게 낫겠어요)

8,(사전의, 미리 이루어진= done beforehand)

“We need to do some upfront research before launching the product”

(우리는 제품 출시 전에 사전 조사를 좀 할 필요가 있습니다)

9,“The upfront planning saved us a lot of time later”

(사전 계획 덕분에 나중에 시간을 많이 절약했지요)

10,(입금하다: deposit)

“Did you deposit the check yet?”

(수표는 입금했나요?)

“Yeah, I put it in my account this morning”

(네, 오늘 아침에 제 계좌에 넣었어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11,“You’ll need to pay a $200 security deposit for the apartment”

(아파트 보증금으로 200달러를 내야 할걸요)

“Sure, that’s refundable, right?”

(그러죠. 그런데 그건 돌려받을 수 있는 거죠?)

12,“Your account has been credited with the refund”

(환불 금액이 당신 계좌에 입금 처리되었습니다)

“Oh, great! How long will it take to show up?”

(아, 잘 됐네요! 언제 표시되나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Things are looking up

*<오늘의 Survival English>

*“여보, 상황이 점점 좋아지기 시작하고 있어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오늘도 어제에 이어 구동사(phrasal verb) 시리즈입니다.

Look은 기본적으로 ‘바라보다’이지만 뒤에 여러 전치사가 붙으면서 다양한 의미로 진화합니다.

Look at, look for, look down, look up, look after, look over, look out… 휴…

오늘은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look의 여러 활용법을 알아봅니다.

1,(look for: 찾다)

“What are you looking for?”

(당신, 무엇을 찾고 있어요?)

“I’m looking for my keys. I can’t find them anywhere”

(열쇠를 찾고 있어요. 아무리 찾아도 안 보이네요)

2,(look after: 돌보다, 보살피다)

“Can you look after my dog while I’m away?”

(제가 없는 동안 제 강아지 좀 봐줄 수 있을까요?)

“Sure, I’ll take good care of him”

(물론이죠, 잘 돌볼게요)

3,(look into: 조사하다, 살펴보다)

“The manager said he’ll look into the issue”

(매니저가 그 문제를 조사해 본대요)

“I hope they fix it soon”

(빨리 해결됐으면 좋겠네요)

4,(look up: (정보를) 찾아보다, 상황이 좋아지다)

“I’ll look up the restaurant’s address online”

(그 식당 주소를 인터넷에서 찾아볼게요)

“Good idea. Let’s make a reservation too”

(좋은 생각이에요. 예약도 같이 하죠)

5,“Things are looking up”

(상황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6,(look up to: 존경하다)

“I really look up to my grandfather”

(저는 제 할아버지를 정말 존경해요)

“That’s sweet. He must be proud of you”

(멋지네요. 할아버지도 당신을 자랑스러워하실 거예요)

7,(look down on: 깔보다)

“She tends to look down on people who don’t have a degree”

(그녀는 학위가 없는 사람들을 깔보는 경향이 있어요)

“That’s not nice at all”

(정말 안 좋은 태도네요)

8,(look over: 검토하다, 훑어보다)

“Can you look over my report before I submit it?”

(제가 보고서를 제출하기 전에 좀 봐주실 수 있나요?)

“Sure, I’ll check it for mistakes”

(물론이죠,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 볼게요)

9,(look out (for): 조심하다, 주의하다)

“Look out! There’s a car coming”

(조심해요! 차가 오고 있어요!)

“Whoa, that was close!”

(우와, 큰일 날 뻔했네요!)

10,(look through: 훑어보다, 자세히 보다)

“I looked through the documents, but nothing seemed unusual”

(서류들을 자세히 훑어봤는데, 이상한 건 없었어요)

“But we might need to double-check”

(그래도 다시 한 번 확인해 봐야겠어요)

11,(look back (on): 회상하다, 돌아보다)

“When I look back on my school days, I smile”

(학창시절을 돌아보면 미소가 지어져요)

“Same here. Those were good times”

(저도요. 정말 좋은 시절이었죠)

12,(look forward to: 앞으로가 기대되다)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our trip next month”

(다음 달 여행이 정말 기대돼요)

“Me too. It’s going to be amazing”

(저도요. 멋진 여행이 될 거예요)

13,“I’m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당신을 만나는 게 기대돼요)

14,(look out for: (사람/기회 등을) 살피다, 챙기다)

“Can you look out for my son at the airport?”

(공항에서 제 아들 좀 챙겨 주실 수 있나요?)

“Of course, I’ll make sure he’s okay”

(물론이죠, 괜찮은지 꼭 확인할게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Kids pick up languages quickly

*<오늘의 Survival English>

*“당신 주려고 내가 아는 식당에서 스프 좀 사왔어요”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영어를 잘하려면 구동사(phrasal verb)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어려운 단어를 많이 알고 있어도 실생활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고, 그런 것은 대개 발음도 어려워 현지인들이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우리에게 익숙한 동사(verb) 뒤에 부사(adverb)와 전치사(preposition)가 따라붙어 만들어지는 새로운 의미, 이것이 영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pick up’의 경우도 상황에 따라 여러 다양한 뜻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상의 필수 표현들입니다.

1,(사람이나 물건을) 데리러 가다, 줍다, 사오다

“Can you pick me up at the Finch station at 5?”

(5시에 핀치역으로 나 좀 데리러 올 수 있어요?)

“Sure, I’ll be there on time”

(그럼요, 제시간에 갈게요)

2.“I dropped my pen on the floor”

(제가 펜을 바닥에 떨어뜨렸네요)

“Don’t worry, I’ll pick it up for you”

(걱정 마세요, 제가 주워드릴게요)

3,“Did you pick up the package from the post office?”

(우체국에서 소포 찾아왔어요?)

“Yeah, I got it this morning”

(네, 오늘 아침에 받아왔어요)

4, “I picked you up some coffee”

(당신 주려고 커피 좀 사왔어요)

5,(언어·기술 등을) 익히다, 배우다

“Kids pick up languages so quickly”

(아이들은 언어를 정말 빨리 익히죠)

“Yeah, it’s amazing how fast they learn just by listening”

(맞아요, 그냥 듣기만 해도 그렇게 빨리 배우는 게 놀라워요)

6,“Your English sounds great. Where did you learn it?”

(영어 정말 잘하시네요. 어디서 배웠어요?)

“I just picked it up while studying in Toronto”

(토론토에서 공부하면서 그냥 자연스럽게 익혔지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7.“How did you pick up coding so fast?”

(당신은 코딩을 어떻게 그리 빨리 배웠나요?)

“I practiced every day after work”

(퇴근하고 매일 연습했지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8,(전화 등을) 받다, 응답하다

“I tried calling you last night, but you didn’t pick up”

(어젯밤 당신에게 전화했는데 안 받더군요)

“Sorry, I was asleep”

(미안해요, 자고 있었어요)

9.“Why isn’t he picking up the phone?”

(그가 왜 전화를 안 받지요?)

“Maybe he’s in a meeting”

(아마 회의 중일지 몰라요)

10.(활동·경기·상황 등이) 좋아지다, 속도를 내다

“Sales have really picked up this month”

(이번 달 매출이 진짜 좋아졌어요)

“That’s great news for our company”

(우리 회사에 좋은 소식이군요)

11,“The economy is slowly picking up again”

(경제가 다시 서서히 회복 중입니다)

“Yeah, things are finally looking better”

(네, 드디어 나아지고 있네요)

12,“Sales usually pick up around the holiday season”

(매출은 보통 연말 시즌 때쯤 되면 속도가 붙지요)

13,“We’re falling behind schedule. Let’s pick up the pace”

(일정이 밀리고 있어요. 우리 속도 좀 냅시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hate to impose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냥 커피 한 잔이에요. 폐 끼치고 싶지 않아요”

누가 저에게 호의를 베풀려고 하면 그냥 넙죽 받기보다는 말이라도 “아이고, 신세지고 싶지 않은데”라고 하죠.

이럴 때 쓰는 말이 “I don’t want to impose” 또는 “I hate to impose”입니다.

impose(명사 imposition)는 ‘(규칙·세금 등을) 부과하다, 의견·생각을 강요하다’는 뜻이 있는데,

일상에서는 ‘(부담이나) 폐를 끼치다’는 뜻으로 많이 쓰입니다.

1,(impose의 일반 예문: 부과하다, 강요하다)

“The government imposed a new tax on alcohol”

(정부는 술에 새 세금을 부과했다)

“Don’t impose your beliefs on others”

(자신의 신념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마세요)

2,(부담, 폐를 끼치다)

“I don’t want to impose on you”

(당신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아요)

3,“Why don’t you stay a little longer and have dinner with us?”

(좀 더 있다가 우리랑 저녁 같이 먹지 그래요?)

“I hate to impose”

(폐 끼치고 싶지 않습니다)

“No, it’s no imposition at all”

(아니요, 전혀 폐가 아닙니다)

4,“I don’t want to impose, but could I stay at your place for one night?”

(폐를 끼치고 싶진 않지만, 하룻밤만 당신 집에 묵어도 될까요?)

“Of course not, you’re always welcome here”

(당연하죠, 당신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5,“I feel like I’m imposing on you by asking for another favour”

(제가 당신께 또 부탁을 드려서 폐를 끼치는 것 같네요)

“Don’t worry, it’s really no trouble at all”

(걱정 마세요, 정말 아무 문제 없어요)

6,“I hope this isn’t too much of an imposition, but could you review my report?”

(너무 부담되는 부탁이 아니길 바라지만, 제 보고서 좀 봐주실 수 있나요?)

“Not at all, I’d be happy to take a look”

(전혀요, 기꺼이 봐드릴게요)

7,“I hate to impose, but could you give me a ride to the station?”

(폐를 끼치고 싶진 않지만, 저를 역까지 좀 태워다 줄 수 있을까요?)

“No, it’s no imposition at all. I was heading that way anyway”

(아니요, 전혀 부담이 아닙니다. 저도 어차피 그쪽으로 가는 길이거든요)

8,“I hate when people impose their opinions on others”

(자기 의견을 남에게 강요하는 사람들은 정말 싫어요)

“Same here. Everyone should have the right to think for themselves”

(나도 그래요. 누구나 스스로 생각할 권리가 있어야지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9,“They imposed new rules without even asking for our opinion”

(그들은 우리의 의견도 묻지 않고 새 규칙을 강요했어요)

“Yeah, it feels so unfair”

(맞아요, 정말 불공평하게 느껴져요)

10,(실례가 안 된다면: if you don’t mind me asking)

“If you don’t mind me asking, how old are you?”

(실례지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11,“If you don’t mind me asking, how much did that car cost?”

(실례가 안 된다면, 그 차 얼마 주고 샀나요?

12,“If you don’t mind me asking, why did you leave your last job?”

(실례지만, 지난번 직장은 왜 그만두셨나요?)

“I just wanted a new challenge”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었어요)

13,“If you don’t mind me asking, where did you learn to speak English so well?”

(실례가 안 된다면, 어디서 영어를 그렇게 잘 배우셨나요?)

“Mostly from movies and practice”

(거의 영화를 보고 연습하면서 배웠지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Don’t point fingers at me

*<오늘의 Survival English>

*“남을 손가락질하기 전에, 당신 손이 깨끗한지부터 확인하라”

‘무슨 소리를 듣다’는 당연히 hear를 쓰죠. 그런데 무슨 얘기를 들었다고 할 때 ‘I was told’라는 표현도 자주 씁니다.

그럼 I was told vs. I heard의 차이점은 뭘까요.

*I was told “누가 나에게 말했다” →직접적으로 들은 말

*I heard “어디서 들었다” →간접적으로 들은 소문, 일반적인 이야기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1,“I was told he got promoted”

(누군가가 나에게 “그가 승진했어요”라고 말했다)

“I heard he got promoted”

(그가 승진했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출처는 불분명함)

2,(I was told 예문들)

“I was told to do it this way”

(그건 이런 식으로 하라고 들었는데요)

3,“I was told not to engage with you”

(당신과는 엮이지(말 섞지) 말라고 들었어요)

4,“I was told we’re getting a new manager next month”

(다음 달에 새 매니저가 온다고 들었어요)

“Really? I wonder who it’ll be”

(정말요? 그가 누구일지 궁금하네요)

5,“I was told not to park here”

(여기에 주차하지 말라고 들었어요)

“Yeah, it’s for employees only”

(맞아요, 여기는 직원 전용 구역이에요)

6,“I was told the meeting starts at 10, not 9”

(회의가 9시가 아니라 10시에 시작한다고 들었어요)

“Oh, that’s good. I was worried I’d be late”

(그거 다행이네요. 늦을까 걱정했거든요)

7,(I heard의 예문들)

“I heard you’re moving to Vancouver”

(당신이 밴쿠버로 이사 간다고 들었어요)

“Yeah, I just got the job offer last week”

(네, 지난주에 취업제안을 받았어요)

8,“I heard the concert was amazing last night”

(어젯밤 콘서트가 정말 대단했다고 들었어요)

“Totally! The crowd went wild”

(완전히요! 관중들이 열광을 했지요)

9,“I heard he quit his job”

(그가 직장을 그만뒀다고 들었어요)

“Yeah, he couldn’t stand the stress anymore”

(맞아요, 더 이상 스트레스를 견딜 수 없었대요)

10,(남의 탓을 하다: point fingers)

“I was told not to point fingers before knowing the full story”

(모든 사실을 알기 전엔 남을 탓하지 말라고 들었어요)

“That’s wise. We shouldn’t judge too quickly”

(그게 현명하죠. 너무 성급하게 판단하면 안 됩니다)

11,“Stop pointing fingers and start finding solutions”

(손가락질(남 탓) 그만하고 해결책을 찾기 시작합시다)

12,“It’s easy to point fingers, but hard to take responsibility”

(남 탓하는 건 쉽지만, 책임지는 건 어렵죠)

13,“Don’t point fingers at me. I did my part”

(나한테 탓하지 마세요. 제 할 일은 다 했어요)

“I’m not blaming you. I’m just frustrated”

(당신을 탓하는 게 아니라, 그냥 답답해서 그래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Let’s get something out of it

*<오늘의 Survival English>

*“사람이 아무리 바빠도, 정말로 당신을 아낀다면, 그대를 위해 시간을 내기 마련이다”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시간이든, 돈이든 그것을 최대한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저는 나름대로 시간을 소중하게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가능한 생산적인 일에 몰입하고자 하는데, 그러다 보니 가끔은 무엇을 열심히 하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오늘은 ‘무엇을 활용하다’, ‘누구를 위해 시간을 내다’ 관련 표현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무엇을 최대한 활용하다)

“We’re already here, so let’s get something out of it”

(우리 이왕 여기에 온 김에 뭐라도 하나 건져봅시다)

2,“This trip wasn’t what I expected”

(이번 여행은 제가 기대했던 대로가 아니네요)

“While we’re here, let’s make the most of it”

(뭐, 이왕 여기 온 김에 최대한 즐기자구요)

3,“The meeting was kind of pointless”

(이번 회의는 별 소득이 없었네요)

“True, but we might as well network while we’re here”

(맞아요, 그래도 이왕 온 김에 사람들이나 좀 알아두죠)

4,“Nothing’s going as planned today”

(오늘은 계획한 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네요)

“Yeah, but since we’re already out, let’s at least grab some good food”

(네, 그래도 이왕 나온 김에 맛있는 거라도 먹읍시다)

5,“The workshop was kind of boring”

(그 워크숍은 좀 지루했어요)

“True, but at least we got something out of it…a few new contacts”

(맞아요, 그래도 우리는 뭐라도 건졌잖아요...새로운 인맥 몇 명 말이죠)

6,“Do you think watching that documentary was worth it?”

(당신은 그 다큐멘터리 본 게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하나요?)

“Yeah, I actually got something out of it”

(네, 나름 얻은 게 있었어요)

7,(~을 위해 시간을 내다: make time for)

You’re probably too busy to meet, right?”

(당신은 너무 바빠서 못 만나겠지요?)

“Not at all. I can always make time for you”

(전혀요. 당신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시간 낼 수 있어요)

8,“Sorry for asking on such short notice”

(갑자기 부탁해서 미안해요)

“Don’t worry. I can always make time for you”

(걱정 마세요. 당신을 위해서는 언제든 시간을 낼 수 있어요)

9,“You really didn’t have to come all the way here”

(당신이 굳이 여기까지 올 필요는 없었는데)

“Hey, I can always make time for you. You know that”

(에이, 널 위해선 언제든 올 수 있지. 알잖아)

10,(~위해 시간을 내보다: find time for…make time보다는 다소 약함)

“I’ll try to find time to call you this week”

(이번 주에 시간을 내서 당신에게 전화할게요)

11,“It’s hard to find time to exercise these days”

(요즘 제가 운동할 시간을 내기가 힘들어요)

12,“I hate bothering you when you’re so busy”

(당신 바쁜데 귀찮게 해서 미안해요)

“You’re never a bother. I can always find time for you”

(당신은 전혀 귀찮은 존재가 아니이요. 당신을 위해선 언제든 시간을 낼 수 있어요)

13,“Maybe we can catch up next week when you’re free”

(다음 주에 당신이 시간날 때 봅시다)

“Don’t worry about my schedule. I can always find time for you”

(내 일정은 걱정 마세요. 당신을 위해서는 언제든 시간 낼 수 있으니)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Let’s grab a bite

*<오늘의 Survival English>

*“좋아요. 하지만 우선 뭐 좀 먹읍시다”

‘Bite the bullet’이란 말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총알을 깨물다’이지만, 실제로는 ‘하기 싫거나 고통스러운 일을 이를 악물고 하다, 참아내다’의 뜻으로 많이 쓰입니다.

오늘은 bite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bite는 기본적으로, 동사로는 ‘이빨로 베어 물다, 깨물다, 물어뜯다’의 뜻이죠.

“The dog bit my leg”

(그 개가 내 다리를 물었다. bit는 bite의 과거형)

“I bit into the apple”

(나는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었다)

2,(명사의 bite)

“Can I have a bite of your sandwich?”

(당신의 샌드위치를 한 입 먹어봐도 될까요?)

3,“This cake looks amazing”

(이 케이크 진짜 맛있게 생겼네요)

“Go ahead, take a bite”

(좋아요, 한 입 들어보세요)

4,“I took one bite and I was hooked”

(한 입 먹어보고나서 완전 반했어요)

5,“Did you eat lunch yet?”

(당신 점심 먹었어요?)

“Not yet. Want to grab a bite together?”

(아직요. 같이 뭐 좀 먹을까요?)

6,“I’m starving. Let’s grab a bite”

(배고파 죽겠어요. 뭐 좀 먹읍시다)

7,(참아내고 하다: bite the bullet)

“I really hate to go to the dentist”

(치과 가기가 정말로 싫어요)

“Just bite the bullet and get it over with”

(그냥 각오하고 가서 빨리 끝내버려요)

8,“We can’t delay the project any longer”

(이제 그 프로젝트를 더 이상 미룰 수 없어요)

“I know. Let’s bite the bullet and start tonight”

(맞아요. 각오 단단히 하고 오늘 밤부터 시작하지요)

9,“She finally bit the bullet and told her boss the truth”

(그녀는 마침내 용기를 내서 상사에게 진실을 말했지요)

10,(무슨 얘기인지 들어보다: I'll bite)

“I have a good idea that might actually work”

(나에게 좋은 아이디어가 있는데 진짜 먹힐지도 몰라요)

“I'll bite. What is it?”

(좋아요, 들어나 봅시다. 그게 뭔데요?)

11,“You’ll never guess what I saw last night”

(당신은 내가 어젯밤에 본 걸 절대로 못 맞출걸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All right, I’ll bite. What did you see?”

(좋아요, 궁금한데요. 무엇을 봤는데요?)

12,(무섭지 않다: won’t bite)

“I’m scared to ask him for help”

(그에게 도움을 요청하기가 무서워요)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Don’t be intimidated. He won’t bite”

(겁먹지 말아요. 그가 해치지 않을테니까)

13,“She looks so strict”

(그녀는 되게 엄격해 보여요)

“Don’t worry, she won’t bite”

(걱정 마세요, 그녀가 잡아먹진 않을테니)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am a people perso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저는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하죠. 술도 좀 마시고…”

평소에 영어를 거의 안 쓰다가 갑자기 현지인과 대화하려면 아주 쉬운 말도 잘 안 나오죠.

이래서 평상시에도 가급적 영어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돌발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을 겁니다.

영어권에 오래 산다고 영어가 저절로 느는 것은 아니죠. 그만한 관심과 노력이 따라야 하겠습니다.

오늘은 아주 쉬운 말이지만 선뜻 나오지 않을 수 있는 ‘~을 좋아하는, 어떤 유형의 사람’이란 뜻의 ~person과

‘나도 그 정도는 알아’(I know better than that)의 예문을 알아봅니다.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1.(~을 좋아하는, ~유형의)

“I’m a people person.

I love being around others and making connections”

(나는 사람들과 어울리고 관계 맺는 걸 좋아하는 사교적인 사람입니다)

2.“She’s definitely a people person.

Everyone feels comfortable around her”

(그녀는 정말 사람을 좋아하는 타입이죠.

그녀 옆에서는 모두가 편안해합니다)

3.“I’m not much of a people person,

but I’m trying to be more open these days”

(저는 그다지 사교적인 편은 아니지만, 요즘은 좀 더 마음을 열려고 노력 중입니다)

4.“I’m a dog person. I’ve had dogs since I was a kid”

(나는 개를 좋아하죠. 어릴 때부터 항상 개를 키웠거든요)

5.“She’s a cat person. She loves quiet evenings with her cat”

(그녀는 고양이를 좋아하죠. 고양이와 함께 조용한 저녁 시간을 즐겨요)

6.“I’m a coffee person. I can’t start my day without a cup”

(나는 커피를 좋아합니다. 커피 한잔 없이는 하루를 못 시작해요)

7.“She’s a beer person, not a wine person”

(그녀는 와인보다 맥주를 더 좋아하는 편이죠)

8.“I’m a morning person. I like getting things done early”

(저는 아침형 인간입니다. 일찍 일어나서 일하는 게 좋지요)

9,(know better than that: 그 정도는 안다, 하지 말았어야)

“Don't trust him. He's a habitual bragger”

(그를 믿지 말아요. 그는 상습적인 허풍쟁이예요)

"Don't worry, I know better than that”

(걱정 마세요. 나도 그 정도는 알아요)

10,“Did you believe the rumor online?”

(당신은 그 인터넷 소문을 믿었나요?)

“No, I know better than that. I checked the source first”

(아니요, 그 정도는 알지요. 먼저 출처를 확인했습니다)

11,“Did you text your ex again last night?”

(당신 어젯밤에 또 전 여자친구한테 문자 보냈어요?)

“No way! I know better than that”

(말도 안 돼요! 내가 그럴 리가 있나요)

12,“Why did you lend him money? He never pays back”

(왜 그 사람한테 돈을 빌려줬어요? 그는 절대로 안 갚아요)

“I guess I should’ve known better than that”

(그러게요, 좀 더 생각을 했어야 했는데)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saw that coming a mile away

*<오늘의 Survival English>

*“나는 진작에 그럴줄 알았죠”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이란 말이 있습니다. 우리말로 “모든 일은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란 뜻이죠.

비슷한 맥락으로, 나 자신이나 누군가가 난처한 상황에 처했을 때 “내 그럴 줄 알았지”라고 하지요.

이를 영어로는 “I saw that coming”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말은 주로 어떤 일의 결과가 별로 좋지 않을 때 쓰겠지요. 오늘은 이런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Did you hear they broke up?”

(그들이 헤어졌다는 소식 들었어요?)

“Yeah, I saw that coming a mile away”

(네, 저는 진작에 그럴 줄 알았어요)

2,“The project failed completely”

(그 프로젝트가 완전히 망했어요)

“Honestly, I saw this coming. There were too many problems from the start”

(솔직히 이럴 줄 알았어요. 처음부터 문제가 너무 많았잖아요)

3,“You got scammed again?”

(당신 또 사기당했다고요?)

“Don’t remind me”

(그 얘기 꺼내지 마요)

“You should have seen that coming”

(그럴 줄 알았어야죠)

4,“I failed my driving test again”

(저 운전면허 시험 또 떨어졌어요)

“Oh no! How come you didn’t see that coming? You barely practiced”

(저런! 그럴 줄 몰랐어요? 연습도 거의 안 했잖아요)

5,“The company laid off half the staff”

(그 회사에서 직원 절반을 해고했대요)

“I knew it. I totally saw that coming”

(내 그럴 줄 알았죠. 완전 예상했지요)

6,“She’s moving to another country next month”

(그녀가 다음 달에 다른 나라로 이사 간대요)

“Really? I didn’t see that coming”

(정말요? 전혀 예상을 못했는데)

7,“He quit his job without telling anyone”

(그가 아무 말도 없이 회사를 그만뒀대요)

“Wow, I did not see that coming”

(와, 그건 정말 예상을 못 했네요)

8,“I lost the bet again”

(제가 또 내기에서 졌어요)

“You should’ve seen that coming, you always bet against me”

(그럴 줄 알았어야죠, 당신은 항상 나와 반대로 걸잖아요)

9,“He acted surprised when she left him”

(그녀가 떠나자 그가 놀라는 척했어요)

“Please, everyone saw that coming”

(에이, 그거야 다들 예상했던거죠)

10,“Our team lost again”

(우리 팀이 또 졌어요)

“Honestly, I saw this coming after last week’s performance”

(솔직히 저는 지난주 경기 보고 이럴 줄 알았어요)

11,“I thought he’d say yes to the offer”

(저는 그가 그 제안을 받아들일 줄 알았어요)

“How come you didn’t see that coming? He hates that kind of work.

(그럴 줄 몰랐어요? 그는 그런 일 싫어하잖아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Hold on to your dream

*<오늘의 Survival English>

*“설령 한 줌의 흙이라도, 좋은 것은 끝까지 지켜라”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중고교 시절에 열심히 외웠던 hold, held, held…

그때는 이것이 ‘붙잡다’로만 알았었는데 단어 뒤에 여러 전치사(preposition)가 붙으면서 뜻이 무궁무진하게 진화할 줄은 몰랐죠.

그 중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는 ‘hold on’(잠깐만!)도 있습니다.

오늘은 hold on의 여러 표현들을 복습(review)합니다.

‘복습’이라 함은 전에도 다루었던 주제란 뜻이니 잘 상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1,(잠깐 기다려: Wait a moment)

“Hold on, I’ll put you through”

(잠시만요, 전화를 연결해드릴게요)

2,“Hold on, that doesn’t make sense”

(잠깐만요, 그건 말이 안 되잖아요)

3,“Hold on, I think you dropped your wallet”

(잠깐만요, 당신이 지갑을 떨어뜨린 것 같아요)

“Oh, thanks! I didn’t even notice”

(아이고, 고마워요! 전혀 몰랐네요)

4,“Hold on, let me grab my coat before we go”

(잠깐만요, 나가기 전에 코트 좀 챙길게요)

“Sure, take your time”

(그래요, 천천히 하세요)

5,“Hold on! That’s not what I meant”

(잠깐만요! 내가 그런 뜻으로 말한 게 아닙니다)

“Then what did you mean?”

(그럼 무슨 뜻으로 말한 거죠?)

6,(끊지 말고 기다리다: On the phone)

“Could you hold on for a second? I’ll transfer your call”

(잠시만 기다려 주시겠어요? 전화를 연결해드릴게요)

“Sure, no problem”

(네, 괜찮아요)

7,“Hold on, I’m getting another call”

(잠깐만요. 다른 전화가 와서요)

“No worries, I’ll wait”

(괜찮아요, 기다릴게요)

8,(유사한 뜻의 표현: hang on)

“Hang on, I’ll get her for you”

(잠깐만요, 제가 그녀를 당신에게 데려올게요)

9,“Hang on, did you just say free tickets?”

(잠깐만요, 무료 티켓이라고 했나요?)

*Hold on = 조금 더 정중하고 차분한 느낌

*Hang on = 좀 더 친근하고 캐주얼한 느낌

10,(꼭 잡다, 버티다)

“Hold on tight! This roller coaster is crazy fast”

(꽉 잡아요! 이 롤러코스터 엄청 빨라요)

11,“Hold on to the railing, it’s slippery here”

(난간 꽉 잡아요, 여기 미끄러우니)

12,(버티다, 견디다: hold on, hold up)

“How are you holding on/up after losing your job?”

(당신은 직장을 잃고 나서 어떻게 지내요?)

“It’s tough, but I’m trying to stay positive”

(힘들긴 한데, 긍정적인 마음으로 버티려고 해요)

13,“Just hold on, things will get better soon”

(조금만 더 버텨요, 곧 나아질 거에요)

14,“I know it’s hard, but hold on to your dream”

(힘든 거 알아요, 그래도 당신 꿈을 놓지 마요)

15,“She held on to her daughter's hand as they crossed the street”

(그녀는 길을 건널 때 딸의 손을 꼭 잡고 있었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A huge weight lifted off

*<오늘의 Survival English>

*“큰 짐을 털어낸 것 같습니다”

살다보면 누구나 본의 아닌 실수(honest mistake)를 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그 실수를 어떻게 보충하고 만회하느냐가 되겠죠.

오늘은 이런 의미의 ‘make it up’(만회하다, 화해하다)과 함께

큰 짐을 덜었다는 뜻의 ‘a weight lifted off’ 관련 활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make it up: 만회하다, 보충하다)

“Everyone makes mistakes. What matters is how you make it up”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떻게 만회하느냐이겠죠)

2,“I’m really sorry I missed your birthday dinner”

(당신 생일 저녁을 놓쳐서 정말 미안해요)

“It’s okay. You can make it up to me next weekend”

(괜찮아요. 다음 주말에 만회하면 돼요)

3,“We had a fight last night, but we made it up this morning”

(우리는 어젯밤에 싸웠는데, 오늘 아침에 바로 화해했어요)

“Glad to hear that”

( 다행이네요)

4,“I can’t believe you forgot our anniversary!”

(당신이 우리 (결혼)기념일을 잊다니 믿을 수가 없어요!)

“I know, I’ll make it up to you. Promise”

(알아요, 꼭 만회(보상)할게요. 약속해요)

5,“Let’s just make it up and move on, okay?”

(우리 그냥 화해하고 넘어가요, 네?)

“Yeah, I don’t want to keep fighting”

(그래요, 저도 더 이상 싸우기 싫어요)

6,“I didn’t mean to hurt your feelings.

How can I make it up (to you)?”

(당신 마음을 상하게 하려던 건 아닙니다. 어떻게 기분을 풀어드릴 수 있을까요?)

“Just be honest with me next time”

(다음엔 그냥 솔직하게만 말해줘요)

7,“I'm sorry for snapping at you earlier. How can I make it up to you?”

(아까 당신에게 버럭 화를 내서 미안해요. 어떻게 보상하면 될까요?)

8,(A weight lifted off: 마음의 짐을 덜다, 한시름 놓다)

“I finally submitted my proposal today”

(제가 오늘 드디어 제안서를 제출했어요)

“Wow, that must feel like a weight lifted off your shoulders!”

(와, 이제 당신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겠네요!)

9.“Once I told the truth, I felt a huge weight lifted off my shoulders”

(진실을 말하고 나니까 정말 큰 짐을 내려놓은 것 같았습니다)

10,“The doctor said my test results are normal”

(의사가 나의 건강검진 결과가 정상이라고 했어요)

“That’s a weight lifted off your shoulders, huh?”

(그럼 이제 한시름 놓았겠네요, 그렇죠?)

11,“We finally paid off our debt”

(우리가 드디어 빚을 다 갚았어요)

“Feels like a huge weight lifted off our shoulders, doesn’t it?”

(이제 정말 마음이 훨씬 가벼워진 느낌이지요?)

12,“After we cleared up that misunderstanding,

it was like a huge weight lifted off my shoulders”

(우리들 오해가 풀리고 나니까 진짜 속이 후련하더군요)

“I know, I feel so much better too”

(저도 그래요, 기분이 훨씬 좋아졌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Please hit the like butto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요즘은 워낙에 Social media가 발달해서 웬만한 교신은 모두 이것을 통해 하지요.

그런데, 특히 본 사이트와 같은 단체대화 룸에서는 특정 포스팅에 대한 공감표현을 reaction(또는 emoji)으로 합니다.

저의 경우도 제가 올린 글이나 칼럼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주로 reaction(하트, 엄지척, 체크 등)을 보고 판단합니다.

그러니 여러분, 저의 글이 좋다고 생각되시면 ‘좋아요’ 표시로 응원해주시면 더욱 힘이 나서 일하겠습니다. ㅎ

1,(reaction: 반응)

“Give a reaction if you liked what I wrote”

(제가 쓴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리액션(좋아요)을 눌러주세요)

2,(비슷한 표현들)

“If you enjoyed my post, don’t forget to give it a reaction”

(제가 올린 글이 좋으셨다면 꼭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Show your reaction by hitting the like button”)

3,“Her reaction to the news was surprising”

(그 소식에 대한 그녀의 반응은 놀라웠습니다)

4,“His angry reaction shocked everyone”

(그의 화난 반응이 모두를 놀라게 했어요)

5,“His reaction was priceless when he saw the surprise party”

(그가 깜짝 파티를 봤을 때의 반응은 정말 대박이었어요)

6,“Your reaction says it all, you definitely didn’t expect that”

(당신의 반응이 모든 걸 말해주네요, 그것을 전혀 예상 못했죠)

7,“She gave no reaction at all, which made it even more awkward”

(그녀는 아무런 반응도 안보였는데, 그게 더 어색했어요)

8,(React: 반응하다)

“How did your boss react when you told him the news?”

(당신이 그 소식을 전했을 때 상사가 어떻게 반응했나요?)

9,“I didn’t know how to react when he suddenly apologized”

(그가 갑자기 사과했을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10,“Try not to react too quickly. Just take a breath first”

(너무 빨리 반응하려고 하지 마요. 먼저 숨을 한번 고르세요)

11,“She reacted calmly even though everyone else was panicking”

(다른 사람들은 다 당황했는데, 그녀는 침착하게 반응했어요)

12,(Overreact: 과잉 반응하다)

“I think you’re overreacting. It’s not that serious”

(당신이 좀 과하게 반응하는 것 같네요. 그렇게 심각한 일은 아닙니다)

13,“Don’t overreact, it was just a joke”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지 마요, 그냥 농담이에요)

14,“He tends to overreact whenever something doesn’t go his way”

*ROM 한국관 상설 큐레이터 기금조성 캠페인

(그는 일이 자기 뜻대로 안 되면 과잉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5,“I might have overreacted last night. I was just stressed”

(어젯밤에 내가 좀 과민하게 반응했나 봐요. 스트레스가 많았거든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m a work in progress

*<오늘의 Survival English>

*“저는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올려드리는 이 영어 시리즈가 독자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행여 아침잠을 깨우며 귀찮게 해드리는 것은 아닌지…

아무튼 4반세기의 이민생활을 하면서 절실히 느낀 한인들의 언어장벽 문제를 다소라도 완화해드릴 수 있다면 저로서는 그 이상 바랄게 없습니다.

오늘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상황을 엮어 보았습니다.

1,(It’s about time: 드디어, 그럴 때도 됐지)

“I got promoted”

(저 승진했어요)

It’s about time”

(그럴 때도 됐지요. 진작 그렇게 됐어야죠)

2,“You finally cleaned your room”

(네가 드디어 방 청소했네)

“Yeah, it’s about time, huh?”

(네, 진작에 했어야 했죠)

3,“Did she get a job?”

(그녀가 직장을 잡았대요?)

“Yeah, it’s about time. She’s been unemployed for months”

(네, 그럴 때도 됐죠. 그녀는 몇 달 동안 일이 없었잖아요)

4,“It’s about time we took a vacation.

We’ve been working nonstop”

(우리도 이제 휴가 좀 가야죠. 그동안 계속 일만 했잖아요)

5,“It’s about time he fixed the broken window”

(그가 부서진 창문을 이제야 고쳤네요)

6,(Work in progress: 아직 완성되지 않고 개선 중인 상태)

“Wow, your English has improved a lot”

(당신의 영어실력이 많이 좋아졌네요)

“I’m a work in progress”

(좋아지곤 있으나 아직 배우는 중이에요)

7,“My English pronunciation is a work in progress”

(저의 영어 발음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 연습 중입니다)

8,“Is your project done?”

(당신 프로젝트는 다 끝났나요?)

“Not yet. It’s still a work in progress”

(아니요, 아직 진행 중입니다)

9,“Wow, your painting looks amazing!”

(와, 당신 그림 정말 멋지네요!)

“Thanks, but it’s a work in progress”

(고마워요, 하지만 아직 작업중입니다)

10,(All talk, never follow: 말만 하고 행동은 안 하는 사람)

(=all talk, no action / all talk, no follow-through)

“He keeps saying he’ll start a business, but he’s all talk, no action”

(그는 맨날 사업 시작한다고 말만 하면서 실제 행동은 없어요)

11,“He promised to help us out”

(그가 우리를 도와준다고 약속했어요)

“Yeah, but he’s all talk, never follows through”

(네, 하지만 그는 말만 하지 실행은 안해요)

12,“Politicians are often all talk and no follow-through”

(정치인들은 말만 요란하지 실행하는 법이 없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He is my go-to perso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세상이 무너지는 것처럼 느껴질 때, 의지할 사람은 누구인가요?”

내가 외롭고 고달플 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내가 힘들고 어려울 때 따스한 위로의 말 한마디라도 해주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럴 때 쓰는 말이 go-to person입니다. 문자 그대로 ‘(내가) 찾아가는 사람’이죠

이 말은 ‘자주 찾아가는 단골 음식점이나 어떤 장소’를 뜻하기도 합니다.

1,(go-to: 자주 찾는, 믿고 의지하는)

“Do you have a go-to person when you need advice?”

(당신은 조언이 필요할 때 믿고 의지하는 사람이 있나요?)

2,“My father is my go-to person for everything”

(제 아버지야말로 제가 뭐든지 의지하는 사람입니다)

3,“She’s my go-to person for relationship advice”

(그녀는 인간관계에 대한 조언이 필요할 때 내가 가장 먼저 찾는 사람이죠)

4.“Pizza is my go-to comfort food after a long day”

(피자는 내가 긴 하루를 보낸 후에 즐겨 찾는 위로 음식이랍니다)

5,“He’s the go-to guy whenever something breaks in the office”

(사무실에서 뭐가 고장 나면 항상 그에게 부탁합니다)

6.“You’re my go-to when I need honest feedback”

(솔직한 피드백이 필요할 때는 항상 당신에게 물어보죠)

7,(I lied: 아, 내가 잘못 말했네)

“Wait, I lied, the meeting’s actually tomorrow, not today”

(잠깐만요, 제가 잘못 말했네요, 회의는 오늘이 아니라 내일 있어요)

*lied가 ‘거짓말했다’는 뜻도 있지만 ‘내가 잘못 말했네, 착각했네’ 정도의 일상적인 표현으로도 자주 쓰임.

8,“I lied, it’s not next Friday, it’s this Friday”

(제가 착각했네요, 다음 금요일이 아니라 이번 금요일입니다)

9,(My bad: 제가 실수했네요, 미안)

“Oh, my bad! I thought you were someone else”

(아, 제가 실수했습니다. 다른 사람인 줄 알았어요)

10,“My bad, I should’ve texted you first”

(내 잘못이에요. 내가 먼저 문자를 보냈어야 했는데)

11,“Sorry, my bad for being late again”

(미안해요, 또 늦었어요, 내 잘못이죠)

12,(for one: 나로서는, 저 개인적으로는)

“I, for one, think this plan could actually work”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나는 이 계획이 진짜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13,“I, for one, am not going to that party”

(다른 이들은 몰라도 나는 그 파티에 안 갈 거에요)

14,“I, for one, believe he deserves another chance”

(나는 그가 한 번 더 기회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Life gets in the way

*<오늘의 Survival English>

*“살다 보면 일이 계획대로 안 될 때가 있나니”

“Life gets in the way”… 이게 무슨 말일까요?

선뜻 의미가 와닿지 않는 이 말은 ‘현실이 발목을 잡다’ ‘바빠서 못했다’ 등의 뜻입니다.

우리말에도 이런 표현이 있지요. ‘살다 보니 이런저런 일들 때문에 못하게 됐다’…

오늘은 구동사 get의 다양한 용례들을 알아봅니다.

1,(get in the way: 방해하다, 가로막다)

“I tried cleaning the room, but the kids kept getting in the way”

(방 청소 좀 하려고 했는데 아이들이 계속 방해를 했어요)

2,“I wanted to start my own business, but life got in the way”

(내 사업을 시작하려고 했는데, 살다 보니 못하게 됐답니다)

3,“We were planning to travel more, but life got in the way”

(우리도 여행을 많이 다닐 계획이었는데, 현실이 그렇게 두질 않더라구요)

4,“I meant to call you earlier, but life got in the way”

(당신한테 일찍 전화하려 했는데, 정신없이 바빠서 못 했어요)

5,“Can you make it to the meeting tomorrow?”

(내일 미팅에 참석할 수 있겠어요?)

“I wouldn't let anything get in the way”

(그 어떤 것도 나를 방해하게 두지 않겠다, 즉 어떤 일이 있어도 꼭 가겠습니다 )

6,(get to: 감정, 영향 받기)

“Don’t let it get to you”

(신경 쓰지 마요, 마음에 담아두지 마요)

7,“Don’t let negative thoughts get to you”

(부정적인 생각에 휘둘리지 마세요)

8,“I can’t believe my boss criticized me in front of everyone”

(상사가 모든 사람들 앞에서 날 비판했다니 믿을 수가 없어요)

”Don’t let it get to you. He does that to everyone”

(너무 신경 쓰지 마요. 그는 누구한테나 그래요)

9,“Oh shoot, It’s already 9 a.m. I gotta get to work”

(어, 이런, 벌써 9시네. 나 일하러 가야해)

10,“How did you get there so fast?”

(당신은 거기 어떻게 그렇게 빨리 갔죠?)

“I took a shortcut”

(지름길로 갔지요)

11,“You look tired. Did you get enough sleep?”

(당신 피곤해 보이네요. 잠은 좀 충분히 잤어요?)

12,“We need to get together sometime soon”

(우리 조만간 꼭 한번 만나야겠어요)

13,“Can you get the door for me? My hands are full”

(문 좀 열어줄래요? 제 손이 가득 차서 그래요)

14,“I just can’t get used to waking up early”

(일찍 일어나는 건 도무지 적응이 안 돼요)

15,“Let’s get going before traffic gets worse”

(교통이 더 막히기 전에 출발합시다)

16,(몸이 아픈 사람에게)

“Hope you get better soon”

(빨리 나아지길 바랄게요)

17,“I got promoted last week"

(저 지난주에 승진했어요)

“Congrats! You totally deserved it”

(축하해요. 당신은 충분히 그럴 자격이 있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ron out the details

*<오늘의 Survival English>

*“하지만 세부 사항은 나중에 조율하면 되죠”

저는 일을 앞에 두고는 미루지 못하는 성격입니다. 바로바로 해치워야 직성이 풀립니다.

이처럼 일을 말끔히 처리하거나 오래된 현안을 해결하는 것을 iron out 등으로 표현합니다.

다리미로 쭉 펴는 것처럼 확실하게 일을 처리한다는 뜻이죠.

오늘은 일을 깔끔하게 처리하는 표현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nail down: 확정하다, 분명히 정하다)

“We need to nail down the date for the presentation”

(우리는 제품설명회 날짜를 확정해야 합니다)

2.“Have you nailed down the budget yet?”

(예산을 아직 확정하지 않았나요?)

3,“We need to nail down the final details before the meeting”

(우리는 회의 전에 마지막 세부 사항을 확정해야 합니다)

4,“It took us hours to nail down the exact cause of the problem”

(문제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는 데 몇 시간이 걸렸어요)

5,(iron out: 문제나 오해를 풀다, 조율하다)

“Did you guys iron out your differences?”

(당신들 의견 차이를 해결했나요?)

6,“We need another meeting to iron out the details”

(세부사항을 조율하려면 회의를 한 번 더 해야겠어요)

7,“Let’s iron out the problem and move forward”

(문제점을 해결하고 앞으로 나아갑시다)

8,“They met to iron out some issues in the contract”

(그들은 계약서의 몇 가지 문제를 조율하기 위해 만났어요)

9,(clear up: 명확히 하다, 오해를 풀다)

“Can you clear up what happened yesterday?”

(어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설명 좀 해줄래요?)

10,“That really clears things up for me. Thanks”

(이제야 상황이 명확해졌어요. 고마워요)

11,(settle: 해결하다, 합의하다, 마무리하다)

“Have they settled their lawsuit?”

(그 사람들 소송이 해결됐나요?)

12,“Let’s settle this once and for all”

(이번엔 이것을 확실히 끝냅시다)

13,(wrap up: 마무리하다, 끝내다)

“Let’s wrap up the meeting in ten minutes”

(10분 안에 회의를 마무리합시다)

14,“We just wrapped up the project”

(우리는 지금 막 프로젝트를 끝냈습니다)

15,(tie up loose ends: 마무리되지 않은 부분을 정리하다)

“I just need to tie up a few loose ends before I leave”

(저는 나가기 전에 몇 가지 마무리할 것이 있습니다)

16,“The team is tying up loose ends on the report today”

(오늘 그 팀에서 보고서를 마지막으로 정리 중입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You carry yourself well

*<오늘의 Survival English>

“자신의 품격(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방법”

사람세상에서는 서로가 상대를 존중하고 매너있게 행동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죠.

특히 대인관계에서 절도있고 품위있게 처신하면 주변에 사람이 많이 모일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도 이런 인격자가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만 보면 나도 닮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요.

오늘은 단정하고 품위있게 행동한다는 표현을 알아봅니다.

1, “You always carry yourself well”

(당신은 항상 품위있게 행동해요/ 항상 단정하고 세련돼 보여요)

2,“You really carried yourself well during the speech”

(당신, 이번 발표 때 정말 품위있게 잘 했어요)

“Thanks, I practiced staying calm beforehand”

(고마워요, 침착함을 유지하려고 사전에 연습했거든요)

3,“He carries himself so well. Confident but not arrogant”

(그는 정말 자기관리를 잘해요. 자신감이 있으면서도 거만하지 않죠)

4,“She’s young, but she carries herself like a leader”

(그녀는 아직 젊지만 리더처럼 잘 행동해요)

“Totally. People respect that about her”

(맞아요. 그래서 사람들이 그녀를 존중하죠)

5,“Even when she’s nervous, she doesn’t show it”

(그녀는 긴장해도 내색을 안 합니다)

“That’s because she carries herself like a pro”

(그건 그녀가 전문가처럼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서 그렇죠)

6,“He walks into a room and everyone notices him”

(그가 방에 들어오면 모두가 눈길을 주지요)

“Yeah, he just knows how to carry himself”

(네, 그는 품격 있게 행동할 줄 알지요)

7,“She dresses simply but carries herself beautifully”

(그녀의 옷차림은 수수하지만 정말 세련되게 행동해요)

“Yeah, it’s her confidence that makes her shine”

(네, 그녀의 자신감이 그녀를 더 돋보이게 하지요)

8,“I like how you carried yourself at the meeting today”

(오늘 회의에서 당신이 대처한 태도가 정말 좋았어요)

“Thank you, I tried to stay professional”

(감사합니다, 최대한 프로답게 행동하려고 했어요)

9,“He doesn’t talk much, but he carries himself with quiet strength”

(그는 말을 많이 하지 않지만, 묵직한 존재감이 있어요)

“Exactly. It’s the way he carries himself that stands out”

(그래요. 바로 그런 태도가 돋보이는 거죠)

10,(‘자기관리’의 다른 예문들)

“He’s such a disciplined person.

He’s always on time and keeps his promises”

(그는 정말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입니다.

항상 시간이 정확하고 약속도 잘 지켜요)

11,“I started waking up early and exercising every morning”

(나 요즘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기 시작했어요)

“Wow, that’s really disciplined of you!”

(와, 당신은 진짜 자기관리를 잘 하시네요!)

12,“I’ve been trying to be more disciplined with my time”

(저는 시간을 좀 더 체계적으로 쓰려고 노력 중입니다)

“That’s what self-discipline looks like”

(그게 진짜 자기관리이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Don’t beat around the bush

*<오늘의 Survival English>

*“자꾸 빙빙 돌려 말하지 마세요”

사람은 누구나 마음속에 담아두고 있는 비밀이나 자신만의 고민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그럴 때 너무 혼자만 번민하고 괴로워하면 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여러분은 가슴속에 있는 비밀을 툭 터놓고 솔직하게 얘기할 수 있는 대상이 있나요?

꾹 참았던 말을 탁 터놓고 얘기하면 가슴이 후련하고 정신도 홀가분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지요.

그래서 오늘은 ‘그냥 툭 터놓고 이야기하다’, ‘솔직하게 말하다’ 등의 영어표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level with me: 툭 터놓고 말해달라)

“Just level with me. What’s really going on?”

(그냥 솔직히 말해봐요. 진짜 무슨 일인가요?)

2,“Let’s talk openly. No need to hold back”

(우리 그냥 터놓고 얘기해요. 숨길 필요 없어요)

3,“Don’t hold back, just spill it”

(참지 말고 그냥 다 말해버려요)

4,“You don’t have to sugarcoat it. I can handle the truth”

(좋게 포장할 필요 없어요. 사실 그대로 말해도 괜찮습니다)

*sugarcoat: 보기 좋게 꾸미다, (나쁜 소식을) 좋게 전하다

5,“Come on, you can be honest with me”

(이봐요, 저한테는 솔직히 말해도 돼요)

6,“Let’s get to the point. What are you really trying to say?”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뭐예요?)

7,“I’m all ears. Tell me what’s on your mind”

(나는 집증해서 듣고 있어요. 그러니 마음속에 있는 것을 말해봐요)

8,“I’m open to any idea, so just say it”

(난 어떤 의견이든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어요. 그러니까 그냥 말해요)

9,“Let’s be real here…no need to pretend”

(우리 현실적으로 이야기하자고요. 굳이 가장할 필요 없어요)

10,“Can we just have an honest talk for a minute?”

(우리 잠깐만 솔직하게 얘기할 수 있을까요?)

11,“You can speak freely. Nothing’s off-limits”

(자유롭게 말해요. 아무 주제나 괜찮아요)

12,“Let’s put everything on the table”

(우리 그냥 모든 주제를 털어놓고 이야기합시다)

13,“Don’t beat around the bush. Just tell me straight”

(빙빙 돌려 말하지 말고 그냥 직설적으로 말해요)

14,“You don’t have to hide how you feel”

(당신 감정을 숨길 필요 없어요)

15,“Let’s speak frankly. That’s how we make progress”

(우리 솔직하게 얘기합시다. 그래야 발전이 있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have to run some errands

*<오늘의 Survival English>

*“내가 오늘 볼 일이 좀 있어요”

현지인(캐네디언)과 대화할 때 그들이 생전 들어보지 못한 어려운 단어를 쓰던가요? 아마 그런 경우는 흔치 않을 겁니다.

대체로 일상에서는 어렵고 난해한 용어가 쓰이는 경우보다는 쉽고 평이한 표현들이 훨씬 더 많을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같은 비영어권 이민자들에게는 이게 더 어렵다는 것이죠.

차라리 어려운 단어를 외워서 써먹을 수 있다면 좋겠는데, 반대로 쉬운 단어들이 연결돼 전혀 다른 뜻으로 사용되니 참 어렵습니다.

오늘은 run(달리다)의 무궁무진한 활용 예문들을 알아봅니다.

1,“I gotta go. I have to run some errands”

(나 가봐야 해요. 볼일이 좀 있어요)

*errand가 ‘심부름’이란 뜻도 있지만 그보다는 그냥 '볼일’이란 뜻으로 많이 사용.

2,“What did you do this morning?”

(오늘 아침엔 뭐 했어요?)

“Just ran some errands… bank, post office, groceries”

(그냥 볼일 좀 했어요. 은행, 우체국, 장보기 같은 거요)

3,(run into: 우연히 만나다)

“I ran into my old friend at the Korean grocery store yesterday”

(어제 한국식료품점에서 우연히 옛친구를 만났어요)

4,(run into trouble: 문제에 부딪히다)

“We ran into some trouble with the software update”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에 문제가 생겼어요)

5,(run across: 우연히 발견하다)

“I ran across an interesting article online”

(우연히 인터넷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봤어요)

6,(run out of: 다 떨어지다, 고갈되다)

“We’ve run out of milk. Can you grab some on your way home?”

(우유가 다 떨어졌는데, 당신이 집에 오는 길에 좀 사올래요?)

7,“I’ve run out of patience, so cut it out”

(나 인내심이 바닥났으니까, 그만 좀 해요)

8,(run late: 늦다, 지각하다)

“Sorry, I’m running a bit late. I’ll be there in ten minutes”

(미안해요. 조금 늦고 있어요. 10분 안에 도착할게요)

9,(run by (someone): (누구에게) 검토받다, 의견을 묻다)

“Can I run this idea by you before the meeting?”

(회의 전에 당신께서 이 아이디어 한 번 검토해줄 수 있을까요?)

10,“I’d better run it by my wife first before I buy it”

(이것을 사기 전에 아내에게 먼저 물어보는 게 좋겠네요)

11,(run a business: 사업을 운영하다)

“She runs a small bakery downtown”

(그녀는 시내에서 작은 빵집을 운영하고 있어요)

12,(run down: 닳다, 기운이 떨어지다)

“My phone battery’s running down again”

(휴대폰 배터리가 또 닳고 있어요)

13,(run through: 연습하다, 훑어보다)

“Let’s run through the presentation one more time”

(우리 발표할 거 한번만 더 연습해봅시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