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ph Lee Joseph Lee

We are in the same boat

*<오늘의 Survival English>

*한 배에 탄…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들

누구와 대화를 할 때 ‘공감’을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죠.

“맞아요, 그렇죠, 저도 같은 처지랍니다” 등…

상대가 심각하게 얘기하는데 딴전을 피우면 안되겠죠.

오늘은 대화시 공감을 표시하는 영어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같은 상황, 처지)

“We are in the same boat”

(우리는 한 배에 탔다, 그러니 같은 처지이죠)

2,“I’m in the same/similar boat.

I haven’t finished my plan either”

(저도 같은/비슷한 처지입니다. 계획을 아직 못 끝냈어요)

3,“We’re all in the same boat, trying to figure out how to pay these bills”

(우리 모두 같은 처지입니다. 이 청구서를 어떻게 낼지 고민 중이죠)

4,“I’m in the same boat as you, looking for a new job right now”

(저도 당신과 같은 처지입니다. 새 직장을 찾고 있거든요)

5,“We’re in the same boat, so let’s help each other out”

(우리 같은 상황이니까 서로 도와줍시다)

6,(공감을 나타내는 예문들)

“I know” (그래요. 저도 알죠)

7,“I know, it’s so frustrating when that happens”

(알아요, 그런 일 생기면 진짜 답답하지요)

8,“I hear you” (당신 말 이해해요, 공감해요)

9,“I hear you. Balancing work and family is tough”

(당신 말 이해해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잡는다는 거 쉽지 않지요)

10,“You’re talking my language”

(제 말이 그 말이이요/ 제생각이랑 같아요)

11,“You’re talking my language! I love that idea”

(제 말이 그 말이에요. 저도 그 아이디어 좋아해요)

12,“Tell me about it”

(내 말이 그말입니다…완전 공감)

13,“This weather is unbearable”

“Tell me about it”

(날씨가 도저히 못 견디겠어요)

(그러게 말에요)

*유료 광고

14,“Exactly”(정확히 그래요, 맞아요)

15,“Exactly! That’s what I’ve been trying to say”

(맞아요! 제가 하려던 말이 그겁니다)

16,“Same here”(저도 마찬가지)

“I could use some coffee.”

“Same here”

(커피 좀 마셔야겠어요/ 나도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ll take that into account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것을 고려해보겠습니다”

이 영어 시리즈의 타이틀이 ‘생존 영어’(Survival English)인 이유는, 언어에 약하면 현지사회로부터 여러모로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에서 그리 정한 것입니다.

솔직히, 지난주 미국 이민당국의 기습적인 단속으로 한국인 고급 숙련 근로자들이 일주일이나 구금됐던 충격적인 사건과, 이들이 구금시설에 갇혀 당한 참혹한 ‘죄수생활’의 여러 증언에 따르면 영어가 안 통해 더 큰 불이익을 당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긴박한 상황에서 영어로 당당하게 대처할 정도의 실력을 갖춰야 하는 이유입니다.

오늘은 ‘take into account/consideration’(계산에 넣다, 고려하다) 관련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I’ll take that into account/consideration”

(그것을 계산에 넣겠습니다, 즉 고려해보겠습니다)

(=I'll consider that)

*account는 일상에서 부담없이, consideration은 좀 더 격식있고 공손한 느낌.

2,“Did you take the additional expenses into account?”

(추가비용을 계산에 넣은 건가요?)

3,“I’ve already done the math,

and I’m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저는 이미 계산을 해보았고, 모든 것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Do the math: 계산하다

“I’ve done the math. It checks out”

(내가 다 계산해 봤는데, 좋아요/맞아요)

4,“I’ll take that advice into account”

(그 조언도 고려하겠습니다)

*유료 광고

5, “Let's hit the road. It's Friday. We need to take traffic into account"

(출발합시다. 오늘이 금요일이니 교통 체증을 고려해야 해요)

*hit the road: 출발하다, 길을 나서다

6,“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rain when planning the event”

(행사를 계획할 때는 비가 올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7,(비슷한 표현)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ltural differences

when working with international clients”

(해외 고객과 일할 때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8,(도움이 되고 이로울 때)

“Get some rest. It’ll do you good”

(좀 쉬어요. 그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될겁니다)

(=Rest will do you good)

9.“I think a change will do me good”

(저로서는 변화(새로운 환경)가 좋을 것 같습니다)

10,“Fresh air will do you good”

(당신은 나가서 신선한 바람 좀 쐬면 좋겠네요)

11,"Let's grab a bite. Food will do us good”

(뭐 좀 먹지요. 먹으면 기운이 날 겁니다)

*grab a bite: 간단히 뭐 좀 먹다

12,“Taking a break will do me good after working all day”

(하루 종일 일했으니 잠깐 쉬는 게 저한테 도움이 될 거예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Your reputation precedes you

*<오늘의 Survival English>

*당신의 명성은 이미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누구를 처음 만났을 때는 보통 “Nice to meet you”라고 하죠.

그런데 단순히 이 말만 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친근한 말을 덧붙이면 대화가 이어지고 Rapport(친밀한 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겠죠.

예를 들어 “당신 말씀 많이 들었어요”라고 하면 대화가 훨씬 부드러워질 겁니다.

오늘은 이런 내용과 어려운 일을 해냈을 때 쓰는 pull off에 관한 내용입니다.

1,(처음 만났을 때)

“Nice to meet you. I have heard a lot about you”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당신에 대해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2,(비즈니스, 공식 자리 등에서)

“How nice to make your acquaintance”

(이렇게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3,(격식 없는 친근한 자리)

“Hey, nice to meet you. I’ve heard a lot about you from my friends”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가워요. 제 친구들한테 당신 얘기 많이 들었어요)

4,(상대의 이같은 말에 농담조로 응답할 때)

“Well, I hope you didn’t hear anything bad”

(그게 나쁜 얘기가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Actually, everyone speaks very highly of you”

(아니요, 다들 당신에 대해 아주 좋게 말하던데요)

5,“Good to finally meet you!

I feel like I already know you from what I’ve heard”

(드디어 만나서 반가워요.

그동안 당신에 대해 들어온 얘기 덕분에 이미 아는 사람 같아요)

*유료 광고

6,(처음 만났을 때 격식을 차려서)

“It’s such a pleasure to finally meet you.

Your reputation precedes you”

(이렇게 드디어 만나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당신의 명성은 이미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Your reputation precedes you” 는 직역하면 ‘당신의 명성이(평판이) 이미 앞서 있다’는 뜻으로, 즉, 직접 만나기 전에 이미 소문이나 평판을 들어 알고 있다는 의미.

7,“Mr. Lee, your reputation as a journalist precedes you.

I’ve heard great things about your writing”

(이 선생, 당신의 명성은 이미 익히 들어 알고 있습니다.

글을 아주 잘 쓰신다고 들었습니다…저의 희망사항 ㅎ)

……………………………………………..

8,(힘든 일을 해낼 때: pull off)

“Wow, you pulled it off!”

(와우, 이 힘든 일을 해냈네요!)

9,“How did you pull it off?”

(이 어려운 일을 어떻게 해냈어요?)

10,“I can’t believe you pulled this off so quickly”

(당신이 이 어려운 일을 어떻게 그렇게 빨리 해낼 수 있었는지 믿기질 않네요)

11,“He managed to pull off a surprise victory in the final round”

(그는 마지막 라운드에서 깜짝 승리를 해냈습니다)

12,“Nobody thought she could finish the marathon, but she pulled it off”

(아무도 그녀가 마라톤을 완주할 거라 생각하지 않았지만, 그녀는 해냈지요)

13,(차를 도로에서 빼다)

“I pulled off the highway to take a short break”

(저는 잠시 쉬려고 차를 고속도로 갓길로 뺐습니다)

14,“We pulled off the road to check the map”

(우리는 지도를 확인하려고 도로 옆으로 차를 뺐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부동산캐나다 사장)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have a rapport with him

*<오늘의 Survival English>

*친밀한 인맥 쌓기 방법

사람 사는 세상에서는 인간관계가 가장 중요하죠(In human society, relationships are the most important).

특히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인맥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인간관계’, 혹은 ‘인맥’은 영어로 relationship, connection, network, tie 등으로 표현하는데 아주 중요한 표현 중 하나가 rapport입니다.

많은 한국분들이 rapport를 ‘라포트’라고 발음하는데, 정확한 발음은 ‘래포(어)’입니다. (t가 묵음)

Rapport는 ‘친밀한 유대와 신뢰관계’를 뜻하는 아주 좋은 말입니다.

1,“I have a good rapport with him”

(나는 그와 좋은 (신뢰)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2,“We’ve built a rapport over time”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신뢰 관계를 쌓아왔지요)

3,“There’s a strong rapport between us”

(우리 사이에는 강한 친밀감이 형성돼 있습니다)

4,“It’s easy to work with him because we have a great rapport”

(그와는 서로 관계가 좋아서 함께 일하기가 쉽지요)

5,“Good salespeople know how to establish rapport with their clients”

(유능한 영업사원은 고객과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고 있죠)

6,“There was an instant rapport between the two colleagues”

(그 두 동료 사이에는 바로 친밀감이 형성되었습니다)

7.(rapport와 connection의 차이점)

*Rapport: 단순한 인맥(connection)보다 신뢰와 친밀감이 형성된 관계.

단순히 ‘연줄’이나 ‘아는 사이’가 아니라, 마음이 통하고 조화로운 관계.

*Connection: 관계 자체, 특히 연결·연줄…꼭 친밀하거나 신뢰가 깊지 않아도 무방, 즉 그냥 ‘아는 사람’

8,(인맥을 쌓다: build connections)

“I attended the networking event to build connections with people”

(저는 사람들과 인맥을 쌓기 위해 그 네트워킹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9,“He got the interview through one of his business connections”

(그는 사업상 아는 인맥 중 한 명 덕분에 면접 기회를 얻었죠)

10,(인맥을 활용하다: leverage connections)

*유료 광고

“He was able to find a new job by leveraging his connections”

(그는 인맥 덕분에 새로운 직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11,(인맥의 다른 표현들)

“LinkedIn is a good platform for expanding your professional network”

(링크드인은 직업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기에 좋은 플랫폼이죠)

12,“She has strong ties with influential people in politics”

(그녀는 정치계의 유력 인사들과 강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don’t have the final say

*<오늘의 Survival English>

*“어려운 날들이 끝을 결정짓는 게 아닙니다. 주님께서 결정하십니다!” (그러니 힘든 현실에 너무 낙담하지 마세요)

우리에게 익숙한 final은 ‘마지막, 최종’의 뜻이죠. 명사로는 ‘결승전, 마지막 시험’ 같은 의미로도 쓰입니다.

그런데 우리말 ‘마지막’의 뜻으로 last도 있는데,

final은 “최종적이고 더 이상 바뀌지 않는, 결정적인” 의미가 강한 반면,

last는 단순히 순서상 맨 마지막을 뜻합니다.

오늘은 final의 다양한 활용법을 알아봅니다.

1,“All sales are final”

(모든 판매는 최종 확정, 즉 구매 후에는 교환이나 환불이 불가하다는 뜻)

2,“My decision is final”

(저의 결정은 절대 불변입니다. 그러니 더 이상 이의를 제기하지 마세요)

3,“This is my final answer, and I won’t change it”

(이것이 저의 최종 답변입니다, 더는 바꾸지 않을 겁니다)

4,(명사: 결승전)

“Our team made it to the final of the World Cup”

(우리 팀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5,(기말 시험)

“I have to study hard for my math final”

(나는 수학 기말시험을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6,(최종 결정권: final say)

“I don’t have the final say”

(저에겐 최종 결정 권한이 없어요)

7,“It’s up to you. You have the final say”

(그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어요.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잖아요)

8,“The manager has the final say on who gets hired”

(누가 채용될지는 매니저가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9,“My wife has the final say when it comes to housework”

(집안일에 대해서는 아내가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죠)

10,“No matter what the doctors say, God has the final say over my life”

(의사들이 뭐라고 하든, 내 인생에 대한 최종 결정은 주님께 달려있습니다)

11,(마침내: finally)

“After hours of waiting, the train finally arrived”

(몇 시간을 기다린 끝에, 드디어 기차가 도착했습니다)

12,“She finally understood what he meant”

(그녀는 마침내 그가 무슨 뜻으로 말했는지 이해했지요)

13,(오래 기다리던 일이 이루어졌을 때)

“Finally! I finished my project”

(마침내! 제 프로젝트를 끝냈네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t’s not letting me i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실망시키지 않겠습니다. 약속해요”

‘무엇을 해주겠다’고 할 때 let을 쓰면 훨씬 정중하게 들립니다. let은 기본적으로 ‘허락’을 뜻하니까요.

가령 누구를 도와줄 때 “I will help you” 도 좋지만 “Let me help you”라고 하면 좀 더 정중하게 들리죠.

한걸음 더 나아가 격식을 차린 것은 “Please allow me to help you”가 되겠습니다.

특히 공식적인 자리에서 정중하게 자기소개를 할 때는 “Please allow me to introduce myself”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무엇을 가볍게 거들어 줄 때는 그냥 간단히 “Allow me”(도와 드릴께요) 해도 됩니다.

오늘은 let의 다양한 용법들을 알아봅니다.

1,(무엇을 허락하지 않을 때: not letting)

'“I’m here, but she’s not letting me in”

(제가 여기 왔는데 그녀가 문을 열어주지 않네요, 즉 들어오지 못하게 막네요)

2,(운전중 끼어들려고 할 때)

“They’re not letting me in”

(저들이 끼어드는 걸 허락하지 않는군요, 즉 끼어들 수가 없네요)

3,(컴퓨터에 log in 등이 안될 때도)

“It’s not letting me in”

(컴퓨터 로그인(접속)이 안돼요)

*이것을 I can’t log in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내가 방법을 몰라서 그런다’는 뉘앙스가 깔려 있죠.

4,(프레젠테이션을 하려는데 컴퓨터에 문제가 있을 때)

“It’s not letting me in for some reason.

Please bear with me”

(무슨 이유인지 접속이 안 되네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5,“It’s not letting me open for some reason”

(웬일인지 컴퓨터가 열리질 않네요)

6,“It’s not letting me pause it”

(일시 정지를 하려는데 안 되네요)

7,“It’s not letting me type”

(타이프가 안쳐져요)

*“I can’t type”는 타이프 칠 줄을 모른다는 의미.

8,“I need to retype the material,

because it’s not letting me copy and paste”

(복사 & 붙여넣기가 안 돼서 자료를 다시 타이핑해야 해요)

9,“For some reason, it’s not letting me share the information here”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여기서는 정보를 공유할 수가 없네요)

(=I can’t share the~)

10,(실망시키다: let someone down)

“Don’t let me down”

(나를 실망시키지 말아요)

11,“I won’t let you down”

(당신을 실망시키지 않겠습니다)

12,“Thank you for this opportunity.

I promise I won’t let you down”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드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겠습니다)

13,“People are counting on us.

We can’t let them down”

(사람들이 우리에게 기대를 하고 있는데 그들을 실망시킬 순 없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Can we table that?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 제안이 아직도 유효한가요?”

지난 주말에 캐나다한인여성회(KCWA: Korean Canadian Women's Association)가 주최한 한인동포 네트워크 행사(Overseas Korean Organizations Networking Event)에 참석했습니다.

여성회 행사 때마다 느끼는 점이지만, 이벤트의 구성이나 내용, 각종 공연 등이 빈틈없이 진행되는 것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토론토 한인사회에는 한인회를 비롯해 수많은 교회와 각급학교 동창회 등 약 300~400여개의 크고작은 한인단체들이 있는데, 여성회야말로 가장 모범적인 단체라 할 만합니다.

다른 단체들도 여성회를 벤치마킹하여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은 전에도 다루었던 table과 관련한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보류하다, 연기하다)

“Can we table that?”

(그거 나중에 얘기해도 될까요?)

(=Can we talk about/discuss it later?)

2,“Let’s table that conversation till tomorrow”

(우리 그 얘기는 내일까지 보류합시다/ 내일 다시 계속합시다)

3,“Let’s table that conversation till we know more”

(그 얘기는 우리가 상황을 좀 더 확인할 때까지 보류합시다)

4,“Let’s table this conversation for now”

(이 얘기는 일단 보류합시다)

(=Let’s not discuss it for now)

5,“Why don’t we table that for a minute?

We have more pressing matters to deal with”

(그것을 잠시 미루는게 어떨까요 더 급히 처리해야 할 일이 있으니까요)

*유료 광고

6,(table의 다른 용법들)

“I looked into some of the options we have on the table”

(제가 안건으로 올라온 몇 가지 선택사항들을 살펴봤습니다)

*on the table: 논의·검토 중인 안건

7,“My offer is still on the table”

(저의 제안은 아직도 유효합니다…그러니 좀 더 생각해봐요)

8,“All options are on the table at this point”

(현재로서는 모든 가능성이 검토 대상에 올라 있습니다)

9,“The new proposal is still on the table, but no decision has been made yet”

(새로운 제안은 여전히 논의 중이지만, 아직 아무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10,“The job offer is on the table, but I haven’t decided whether to accept it.

(일자리 제안이 논의 중이지만, 내가 수락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11,(보류하다, 미루다: off the table)

“Let’s take that off the table for now”

(일단 그것은 논외로 하지요. 보류하지요)

12,“Nothing’s off the table”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고려하고 있습니다)

13,“They tabled off the offer after realizing it was too risky”

(그들은 그 제안이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해 철회했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You never know”

*<오늘의 Survival English>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혹시 누가 알아요?”

우리말로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몰라요’를 영어로는 보통 “You never know”라고 하죠.

이때 주어 You는 ‘당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사람들, 즉 불특정 다수를 뜻합니다.

이처럼 You가 ‘보통의 일반사람’을 가리키는 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Let’s see how it goes.

I mean, you never know”

(지켜보자구요,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니까)

*이때 You는 ‘당신’이 아니라 ‘일반적인 보통사람’을 의미.

비슷한 말로 Who knows?: 혹시 누가 알아요?

2,“You never know what’s gonna happen in life”

(살다 보면 어떤 일이 생길지 아무도 몰라요)

“Well, you get what you pay for”

(값을 치른 만큼의 가치를 얻는 법이죠, 싼 게 비지떡이다)

3,다음 대화 내용이 무슨 뜻일까요?

“I’m sweating like a dog”

(제가 땀을 비오듯 흘리고 있네요)

“Oh, you can’t tell”

(글쎄요, 사람들이 잘 모르겠는데요)

*여기서 tell은 ‘정확히 알다, 판단하다’의 뜻

4,“I can’t tell”

(저는 잘 모르겠는데요)

“You can’t really tell”
(사람들이 그냥 봐서는 전혀 모르겠는데요)

5,“Can you tell that I got a tan?”

(내가 햇볕에 탄게 티가 나나요?)

“You can’t tell”

(그런 티가 안나요. 사람들이 몰라볼걸요)

6,“I can’t tell the difference”

(저는 차이점을 모르겠는데요) vs.

“You can’t tell the difference”

(일반사람들은 차이점을 잘 모릅니다)

7,“You can’t tell, because she’s so chill about it”

(그녀가 너무도 태연하게 굴어서 아무도 눈치를 못챕니다)

8,“It’s so well-made that you can’t tell the difference”

(그것이 워낙 잘 만들어져서 사람들이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9,(tell의 보통 쓰임새)

“You can’t tell anyone”

(아무에게도 말하면 안돼요)

10,(일반 보통사람을 지칭하는 they)

“They say time heals everything/ all wounds”

(사람들이 말하길, 세월이 약이라고 하잖아요)

11, “Time will tell”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되겠죠)

12,“These days, we rely heavily on new technology”

(요즘 시대에 우리는 신기술에 엄청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때 we도 일반 보통 사람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Try not to use slang

*<오늘의 Survival English>

*수학을 못할 때(약할 때)

우리가 언어생활에서 점잖고 고상한 말만 쓰고 살면 좋겠습니다만, 현실은 그렇지만도 않지요.

때론 화가 나서 큰소리도 치게 되고 욕설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그런데 영어권 원어민(native English speaker)이 비영어권 이민자에게 비속어(slang/ vulgar)를 내뱉었을 때 이를 알아듣지 못한다면 더 서글퍼지겠죠?

이래서 언어생활에서 실제로 쓰지는 않더라도 그들이 하는 말을 알아듣기는 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은 죄송하지만 별로 점잖지 못한 표현들을 몇개 정리해봤습니다.

1,(~에 약하다: suck)

*suck은 본래 ‘빨다, 흡입하다’의 뜻이지만, 구어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I suck at math”

(저는 수학을 잘 못해요, 수학에 약해요)

(=I’m not very good at math/ I’m terrible at math)

2,“I suck at fixing things because I’m not handy”

(저는 손재주가 없어서 무엇을 잘 못 고쳐요)

3,(자신에게 화를 내면서)

“Why do I suck at this?”

(왜 나는 이걸 이렇게 못할까?)

4,(무엇에 만족하지 못할 때)

“The movie really sucked”

(그 영화 진짜 형편없었어요)

5,“Mondays suck”

(월요일은 정말 싫어요)

6,“He totally sucks as a manager”

(그는 매니저로서 정말 형편없어요)

7,(빨다, 흡입하다의 기본 의미)

“Our granddaughter sucks her thumb”

(우리 손녀가 자기 엄지손가락을 빨아요)

8,“This vacuum cleaner really sucks up the dust”

(이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정말 잘 빨아들여요)

9,(비속어 예문들…가능한 쓰지는 말고 이해만 하세요)

“What the hell are you doing?”

(도대체 뭐 하는 거야?)

10,“Shut the hell up!”

(입 닥쳐요!)

11,“What the heck?”

(이거 도대체 뭐요?)

12,“Don’t screw it up”

(일을 망치지 말아요)

13,“He’s such an asshole”

(그 사람은 진짜 재수 없는 인간이에요)

14,“This place is a shithole”

(여긴 완전 쓰레기 같은 곳이네요)

15,“Get the hell out of here!”

(당장 꺼져버려!)

16,“What the fuck is going on?”

(도대체 뭐가 어떻게 된 거야?)

*이런 표현은 친구끼리 농담처럼 쓰일 때도 있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절대 쓰면 안 됩니다.

17,“Never use the f-word”

(절대로 f-word(‘fuck’)는 쓰지 마세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was supposed to~”

*<오늘의 Survival English>

*“오늘 내가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일이 있었죠”

우리들이 대화를 할 때 ‘희망사항’을 에둘러 말할 때가 있지요.

즉, ‘~했으면 했지요’ 하는 식이죠. 이럴 때 “I was hoping~”란 표현을 씁니다

어제의 ‘I was wondering if~’에 이어 오늘도 그와 비슷한 ‘조심스런 희망사항’ 표현을 알아봅니다.



1,(희망사항을 표현할 때)

“I was hoping we could talk"

(우리 얘기 좀 하면 좋을 것 같아서요)

2,(마침 기다리고 있던 말을 했을 때)

“I was hoping you’d say that”

(안 그래도 그말을 해주길 바랬어요)

3,(회의 등이 길어질 때)

“I think we could all use a break”

(우리 모두 휴식이 좀 필요한 것 같네요)

“I was hoping you’d say that”

(그러잖아도 그 말 해주길 바랬어요)

4,(I was hoping~의 응용 표현들)

“I was hoping you’d ask”

(그런 요청을 해주길 바랬죠)

“I was hoping to hear that”

(그런 말 해주길 바랬었죠)

5,(응용 회화 표현들)

“I was wondering if I could schedule a sit-down with you”

(당신과 한번 이야기 나눌 시간을 잡을 수 있을까 해서요)

*sit-down은 보통 격식 있는 대화, 면담, 회의를 의미

“I’m sitting. What do you need?”

(지금 앉았는데, 할말 있으면 얘기해봐요)

6,“Well, I was hoping we could talk privately”

(글쎄요, 사적으로 조용히 얘기했으면 해서요)

*privately=in private: 사적으로, 비공개로, 남들이 보지 않는 데서

7,(be supposed to와 be going to)

“What are you doing this weekend?”

(이번 주말에 뭐 할건가요?)

“I am supposed to meet my friend”

(친구를 만나기로 돼있습니다…단순한 예정이어서, 그러지 않을 수도 있음)

“I am gonna meet my friend”

(친구를 만날 겁니다…확정된 상황)

8, “It's supposed to rain/snow today"

(오늘 비가/눈이 온답니다...안 올 수도 있음)

9,(주의, 경고할 때)

“You are not supposed to smoke in here”

(원래 여기선 담배를 피우면 안됩니다)

10,“I don’t think you are supposed to do that”

(원래 그러면 안되는 것 같은데요)

11,“What did you do last night?”

(어제 저녁에 뭐했어요?)

“I was supposed to study English, but I was too tired”

(원래 영어공부를 하기로 했었는데 너무 피곤해서…)

12,“We were supposed to meet for dinner, but he didn’t show”

(그 사람과 만나 저녁을 함께 하기로 했었는데, 그가 안 나타났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was wondering if~”

*<오늘의 Survival English>

*“혹시 저를 좀 도와주실 수 있을지…”

사람간 대화에선 때로 직설적인 화법보다 약간 에둘러 말하는 것이 더 예의 바르고 설득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저 좀 도와줄 수 있어요?"라기 보다

“혹시 저 좀 도와주실 수 있나 해서 여쭤봅니다”라고 하면 훨씬 예의 있게 들리겠죠.

오늘은 이와 관련한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가능성 여부를 물어볼 때: I was wondering if)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help me with something”

(혹시 저를 좀 도와주실 수 있나 해서 물어보는데요)

*이렇게 I was wondering if~를 쓰면

“Can you help me?”라고 하는 것보다 훨씬 정중해보입니다.

2,“I was wondering if you’d like to join me for lunch” 또는

“I was just wondering if you were free for lunch today”

(혹시 오늘 저와 점심 함께 할 수 있을까 해서요)

3,“Something has come up at work.

I was wondering if I could reschedule”

(회사에서 무슨 일이 좀 생겨서 그러는데,

혹시 일정을 재조정할 수 있을까 해서요)

4,“It’s not easy for me to ask this, but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put in a good word with my boss”

(이런 부탁을 드리기 곤란하지만,

제 상사께 저에 대해 좋게 말씀 좀 해주실 수 있을까요?)

*put in a good word (with someone): “~에게 좋게 말해주다, 추천해주다”

5,“I was just wondering if you’d be interested in it”

(그냥 혹시 당신이 그것에 관심 있으실까 해서 여쭤본 거예요)

6,(물건을 사면서 흥정할 때)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give me a discount”

(혹시 할인 좀 해주실 수 있을까 해서 물어보는데요)

7,(~하면 어떨까 해서: I was thinking)

“I was thinking we could go to a movie tonight”

(오늘 밤 영화 보러 가면 어떨까 생각했지요)

8,“I was thinking we could grab dinner together”

(우리 같이 저녁 먹으면 어떨까 하는데요)

9,“Do you have any plans tonight?

I was thinking we could catch up over a drink”

(오늘 저녁에 무슨 계획 있나요?

술이나 한잔 하면서 근황 얘기 좀 나눌까 했지요)

10,“I was thinking we could have pizza for dinner”

(저녁은 피자 먹으면 어떨까 생각했죠/ 저녁에 피자 먹는 거 어때요?)

11,“I was thinking maybe we could do this instead”

(그거 대신에 우리 이걸 해보면 어떨까 생각했어요/

우리 차라리 이걸 하는 게 어떨까 싶어요)

*다음엔 이와 유사한 “I was hoping~”에 대한 용례들을 알아봅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t’s catchy”

*<오늘의 Survival English>

*전 세계에 한류 열풍을 몰고온 ‘KPop Demon Hunters'

이제 한국문화는 음악이나 영화 등은 물론, 음식과 가전제품, 의상 등 거의 전 분야에서 세계를 주름잡고 있죠.

특히 최근엔 애니메이션 영화 ‘KPop Demon Hunters’로 인해 전 세계에 한류 열풍을 더욱 가열시키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는 “It's catchy”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오늘은 catch와 관련된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It’s catchy”

(와우, 아주 귀에 쏙 들어오는데요)

-이는 금방 따라 부를 수 있는, 중독성 있는’ 등의 뜻으로,

음악이나 광고문구, 제목, 슬로건 같은 게 사람 머릿속에 쉽게 남을 때 사용합니다.

2,“This song is so catchy”

(이 노래 진짜 중독성이 있네요. 즉 절로 흥얼거려지는데요)

3.“It's a catchy title”

(눈에 확 들어오는 제목인데요)

4,“I can’t stop humming that catchy tune”

(그 음악이 중독성이 있는지 계속 흥얼거리게 되네요)

5,“She came up with a catchy name for her new app”

(그녀는 새 앱에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지었습니다)

6,“A catchy phrase can make a brand unforgettable”

(눈에 쏙 들어오는 문구는 브랜드를 잊을 수 없게 만들지요)

7,“Politicians usually use a catchy phrase to win people’s attention”

(정치인들은 보통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기억하기 쉬운 문구를 사용하지요)

8,(조건의 catch)

“It sounds too good to be true. What's the catch?"

(믿기 어려울 정도로 좋은 말인데, 대체 조건이 뭡니까?)

“No strings attached”

(아무런 조건이 없습니다)

9,“Read the fine print.

There is always a catch to this kind of thing"

(작은 글씨로 쓰인 세부내용을 잘 살펴보세요.

이런 일에는 꼭 부대조건이 따라붙는 법이죠)

10,(catch의 다른 용례들)

“I have to go now. I'll catch you later"

(나, 지금 가봐야 해요. 나중에 봐요)

(=See you later)

11,"It was nice catching up"

(오랜만에 만나 수다를 떨으니 좋은데요)

"Likewise. Catch you later"

(저도요. 그럼 또 만나요)

12,"She is a catch"

(그녀는 정말 괜찮은 사람이에요,

또는 결혼상대로 아주 좋은 사람입니다)

13,"Be nice to him. He is a catch"

(그 사람 잘 대해줘요. 정말 좋은 사람이니 놓치지 않게…)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come bearing gifts”

*<오늘의 Survival English>

*“얘야, 선물 갖고 왔다”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 bear에는 여러가지 뜻이 있습니다.

명사로는 ‘곰, 까다로운 것/사람, 금융 용어(bear market: 약세장)’, 동사로는 ‘참다, 견디다, 지니다’ 등등…

오늘은 일상에서 많이 쓰는 bear의 다양한 용법을 알아봅니다.

1,(누구의 집이나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I come bearing gifts”

(선물 좀 가져왔어요)

*선물이라고 해서 비싸고 중요한 것이 아니어도, 커피 정도에도 쓸 수 있습니다.

*이때의 bear는 bring보다 좀 더 격식있는 표현이죠.

2,“I brought some wine for you”

(당신 드리려고 와인 좀 가져왔어요)

“You shouldn’t have.

I mean, you always come bearing gifts”

(이러지 않아도 되는데. 당신은 올 때마다 항상 뭘 가지고 오네요)

3,“I come bearing a small gift”

(작은 선물 하나 가져왔어요)

“What have I done to deserve a gift?”

(제가 무슨 선물 받을 일이라도 했나요?)

4,(보통 일반적으로 쓰는 말)

“I brought you a small gift”

(당신 드리려고 작은 선물 하나 가져왔습니다)

5,(유념하다, 명심하다의 bear)

“I’ll bear that in mind”

(마음 속에 간직하고 있겠습니다. 명심하겠습니다)

(=I’ll keep that in mind)

6,“Please bear in mind that we’re on a tight schedule”

(우리의 일정이 빡빡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세요)

“I’ll make a note of it”

(유념하겠습니다)

7,“Please make a note of that date”

(그날을 기억해(메모해) 두세요)

8,(참아달라고 양해를 구할 때의 bear)

“Please bear with me”

(잠시만 참고 기다려주세요)

9,(기술적으로 문제가 있을 때)

“We seem to be having some technical difficulties.

Please bear with us for a minute”

(컴퓨터에 문제가 좀 있는 것 같은데 잠시만 좀 기다려주세요)

10,(설명이 거의 다 끝나갈 때)

“I’m almost done. Please bear with me”

(거의 다 끝나갑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11,(참기 어려울 때)

“It’s more than I can bear”

(이건 정말 견디기 어렵네요)

12,“Seeing you like this is more than I can bear”

(당신이 이런 모습을 보일 때 저는 너무 괴로워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Take time to recharge

*<오늘의 Survival English>

*“나만의 소중한 시간. 휴식과 성찰, 재충전하는 시간…”

여름의 막바지, 가족들과 함께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번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고요한 호숫가에서 휴식하고 독서를 하니 심신이 한결 여유롭고 가뿐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이래서 가끔은 재충전(recharge)의 시간이 필요한가 합니다.

재충전은 그 소중함만큼이나 표현도 다양합니다.

1,“We sometimes need time to recharge”

(우리는 가끔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2,”Take time to enjoy the little things”

(작은 것들을 즐길 시간을 가지세요)

3,“I need some time to go to a quiet place and reflect”

(저는 어디 조용한 곳에 가서 생각할 시간이 좀 필요합니다)

4,“I need to get some air”

(바람 좀 쐬고 와야겠어요)

5.“Finally some me time!”

(드디어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됐네요)

*me time: 나를 위한 시간

6,“I took this vacation as a precious chance to recharge myself”

(저는 이번 휴가를 소중한 재충전의 기회로 활용했습니다)

7,“I need some alone time”

(저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해요)

*’저 혼자 있고 싶어요’를 ‘Leave me alone’이라고 쓰면 안됩니다.

이는 ‘(신경질적으로) 내 일에 상관하지 마, 나 좀 내버려둬’라는 뜻입니다.

‘It’s none of your business!’(당신이 알 바 아니야)와 마찬가지로 함부로 쓰지 마세요.

8,“Sometimes the best way to recharge our batteries is to unplug them”

(때로는 우리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뽑아두는 것이다.

즉 모든 것을 끊고 푹 쉬는 것이 가장 좋은 재충전의 방법입니다)

9,(유사한 표현)

“I am all about a healthy lifestyle”

(저는 건강한 삶을 사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0,“Life’s not about money. It’s all about family”

(인생은 돈이 전부가 아니에요. 가족의 행복이 가장 중요하죠)

11,“During the family trip, I realized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family”

(저는 가족여행을 하면서 새삼 가정의 중요성을 깨달았죠)

12, “Life is all about making choices”

(인생은 결국 선택의 연속이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m just throwing this out there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냥 한번 말해보는 건데요”

우리가 일상적인 대화를 할 때 골똘히 생각을 하지 않고 그냥 툭 던져보는 말들이 많지요.

가령 날씨가 좋으면 산책이나 골프 등 야외활동을 하는게 어떠냐고 제안하는 것 등이 그렇죠.

이때 영어로 우리가 잘 아는 throw(쓰로우)는 (무엇을) 던지다는 뜻인데,

이것을 ‘throw out there’라고 쓰면 ‘그냥 던져보다, 즉 (별 생각없이) 말해보다’는 뜻입니다.

1,(별로 깊게 생각하지 않고) 말하다, 내뱉다

“I’m just throwing this out there”

(깊이 생각하지 않고, 그냥 말해보는 건데요)

*이때 throw out=offer

2,“I’m just throwing thoughts out there”

How about doing it next time?”

(그냥 제 생각을 말해보는 건데요, 그건 다음에 하는 게 어때요?)

3,“Just kind of throwing this idea out there,

but what if we start the project next week instead of tomorrow?”

(그냥 제 생각인데, 그 프로젝트를 내일 말고 다음 주에 시작하면 어때요?)

4,(제안·아이디어 등을) 물리치다, 거부하다)

“They decided to throw out the idea because of the price”

(그들은 가격문제 때문에 그 아이디어를 기각해버렸습니다)

*이때 throw out=discard

5,“When they threw him out,

they also threw out all those good ideas”

(그들이 그를 내쫓았을 때,

그 모든 좋은 아이디어들도 함께 버려졌지요)

6,(hit- 때리다의 여러 용례)

“Let’s hit the road”

(서둘러 출발합시다)

7,“It’s getting late. I should probably hit the road”

(시간이 늦었네요, 이만 서둘러 가봐야겠습니다)

8,“Let’s hit the gym”
(미적대지 말고 후딱 운동하러 갑시다)

9,(죽이 잘맞다)

“We just hit it off”

(우리는 즉시 뭔가 통했지요)

(=We just clicked)

10,(~란 사실을 깨닫다)

“It just hit me that it’s not worth the money”

(그건 돈을 들일만한 가치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죠)

11,“I was watching the kids play,

and that’s when it hit me. I really want to be a teacher.

(아이들이 노는 걸 보고 있었는데, 그 순간 깨달았어요. 내가 정말 교사가 되고 싶다는 걸)

12, “When she walked away without saying a word,

that’s when it hit me how much she actually cared”

(그녀가 한마디도 하지 않고 떠나버렸을 때,

그 순간 깨달았어요. 그녀가 사실은 얼마나 나를 신경 썼는지를)

13,“That’s when it hit me that my family is all that matters”

(그때 문득 깨달았죠. 나의 가정이야말로 가장 소중하다는 것을)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still have reservations

*<오늘의 Survival English>

*“네, 저는 아직 확신이 안 서네요”

우리가 무슨 일을 하기로 결정했으면서도 다시 생각하면 망설임이 들 때가 많이 있지요.

그 결정이 옳았는지, 아니면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것 아닌지…

이처럼 어떤 일에 대해 의구심이 들 때 reservation이란 표현을 씁니다.

Reservation(레저베이션)은 예약(booking)의 뜻으로 가장 많이 쓰이지만 계획이나 생각에 대한 의구심, 거리낌(misgiving)의 의미로도 많이 쓰입니다.

1,(의구심)

“I still have reservations about this plan”

(저는 아직 이 계획에 대해 의구심이 들어요, 확신이 안서요)

2,“I’m not prepared to do this”

(저는 이것을 할 준비가 안됐습니다)

“I know you have reservations”

(저는 당신이 망설이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3,“I agreed to the plan without any reservations”

(저는 아무런 망설임 없이 그 계획에 동의했습니다)

4,“I accepted the offer, but with some reservations”

(나는 그 제안을 받아들였지만, 약간의 의구심은 있었죠)

5,(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내성적인: reserved)

“She is kinda reserved”

(그녀는 좀 내성적인 편입니다)

6,“I’ve never met anyone like you.

Reserved yet brave”

(나는 당신 같은 사람을 처음 봐요.

내성적이면서도 대담하군요)

7,“She is very reserved and doesn’t share her feelings easily”

(그녀는 매우 내성적이라 자신의 감정을 쉽게 털어놓지 않습니다)

8,(예약하다)

“Did you make a reservation?”

(예약을 하셨나요?

“Yes, it should be under Joseph”

(네, 조셉 이름으로 돼있을 겁니다)

9,“I called the hotel and reserved a room”

(제가 호텔에 전화해서 방을 예약했습니다)

10,“A table has been reserved/booked for us at the restaurant”

(식당에 우리를 위해 자리가 예약되어 있습니다)

*reserve는 좀 더 격식 있고 공식적인 느낌(호텔, 행사장 등),

book은 일상적인 예약(여행, 식당 등)에 더 자주 쓰입니다.

11,“I booked a flight to Seoul for next month”

(나는 다음 달에 서울행 비행기를 예약했습니다)

12,“I booked a table at the Italian restaurant”

(제가 이탈리언 레스토랑에 자리를 예약했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m just venting”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냥 푸념하는 겁니다”

여러분은 화가 나고 답답할 때 어떻게 스트레스를 해소하시나요?

각자 나름대로 방식이 있으시겠지요.

그렇다고 누구에게 화를 내거나 나쁜 감정을 전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겠습니다.

Vent는 명사로는 통풍구, 환기구(ventilator)를 뜻하지만 동사로 쓰면 ‘감정이나 화를 터뜨리고 발산하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1,(상대가 버럭 화를 낼 때)

“Please lower your voice.

There is no need to vent your anger on me”

(목소리 좀 낮춰요.

당신이 나에게 화풀이할 필요가 없잖아요)

(=Don’t take your anger out on me)

2,“Playing games is one way to vent my anger and frustration”

(화가 나고 답답할 때는 게임을 하면서 풀어요)

3,“Let me go get some air.

I don’t want to vent my anger on you”

(저 바람 좀 쐬고 올께요.

당신에게 저의 화풀이를 하고 싶지 않아요)

4,(혼자서 끙끙 앓는 이에게)

“Why don’t you vent?

Vent your frustrations.

Come on, who pisses you off?”

(왜 확 터놓고 말하지 못해요?

답답한 심정을 털어놔봐요.

자, 도대체 누가 당신을 열받게 하죠?)

5,(화를 내고 나서)

“I’m sorry. I just needed to vent”

(미안해요. 누구에게라도 하소연 해야 했어요)

“You have every right”

(그럴만 하시겠어요)

“I'm done now"

(이젠 됐어요)

6,“I can talk to him if you want"

(당신이 원한다면 그에게 얘기해줄 수 있어요)

“No, that’s not necessary. I’m just venting”

(아니요, 그럴 필요 없어요. 그냥 (답답해서) 하소연하는 겁니다)

7,“So, do you wanna vent about the day?”

(그래, 오늘 하루 힘든 일이 있으면 편히 말해보세요)

8,(마음을 가라앉히다, 정신을 가다듬다: collect oneself)

“Collect yourself”

(진정하세요)

9,“I know it’s not easy, but try to collect yourself”

(그게 쉽지는 않겠지만, 마음을 가라앉혀 보세요)

10,“I need some time to collect myself”

(제가 마음을 추스릴 시간이 좀 필요해요)

11,“Give me a minute to collect myself”

(제가 정신 차릴 시간 좀 주세요)

12,“She took a deep breath to collect herself before speaking”

(그녀는 연설하기 전에 깊게 숨을 들이마시며 마음을 가다듬었죠)

13,“I just want a quiet place to collect my thoughts”

(저는 조용한 곳에서 생각 좀 정리하고 싶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Downside vs. Upside

*<오늘의 Survival English>

*집을 구매하는 것과 렌트하는 것의 장.단점

K팝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디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가 세계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케데헌’으로 알려진 이 영화에는 전통적인 한국음식을 비롯해 화장품, 관광지 등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로 인해 한국의 상품들이 큰 혜택을 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까지 극찬하고 나선 이 영화, 한번쯤 보시길 권합니다. 대사가 영어 자막으로 깔리니 영어공부 하기에도 좋습니다.

-오늘은 downside와 upside에 대해 알아봅니다.

Downside는 ‘불리한 면, 덜 긍정적인 면’을 뜻합니다. 반대말은 upside로 ‘긍정적인 면’이죠.

1,“What’s the downside, if any?”

(안 좋은 점이 있다면 무엇이죠?)

2,“The only downside is the high cost at the beginning”

(유일한 단점이라면 초기비용이 높다는 것입니다)

“Yeah, but in the long run, the benefits will offset the cost”

(그렇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득이 비용을 상쇄(만회)할 겁니다)

(=The gains will offset the cost)

3,“What's the downside of doing that?”

(그렇게 했을 때 부정적인 점이 뭐죠?)

“There is no downside. Please do it"

(문제될 거 없어요. 그냥 하세요. )

4,(downside vs. upside)

“There are more downsides than upsides”

(그건 단점이 장점보다 더 많아요)

(=The downsides outweigh the upsides

: 단점이 장점을 능가하다, 더 많다)

5,“There is no upside to doing that"

(그렇게 해서 좋을 것 없어요)

6,“The upside of working from home is flexibility,

while the downside is feeling isolated from colleagues”

(재택근무의 장점은 유연성이고, 단점은 동료들과 단절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입니다)

7,“The upside of investing in the startup is the potential for high returns,

but the downside is the high risk of failure”

(스타트업에 투자했을 때의 장점은 높은 수익 가능성이지만,

단점은 실패할 위험이 크다는 겁니다)

8,(장.단점의 다른 표현: pros and cons)

어떤 선택이나 사안의 장점(pros)과 단점(cons)을 균형 있게 따질 때 사용

“Let’s weigh the pros and cons before we decide”

(우리가 결정을 하기 전에 장.단점을 잘 따져봅시다)

9,(상쇄하다, 보충하다: offset)

“I think we should move forward with the idea.

It could offset our loss from last quarter”

(저는 우리가 그 아이디어를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것이 지난 분기의 손실을 만회할 수 있을 겁니다)

10,“There are government programs that can help offset the costs”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11,“His passion offsets his lack of experience”

(그의 열정이 경험부족을 충분히 보충해주고 있네요)

12,“Her kind personality offsets all the downsides”

(그녀의 좋은 성품 덕분에 단점들이 다 만회되지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Subtle way of saying

*<오늘의 Survival English>

*“누군가를 좋아한다는 걸 은근히 표현하는 방법”

우리가 무슨 일을 할 때 눈에 확 띄거나 직설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에둘러, 보일듯 말듯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쓸 수 있는 단어가 subtle(서를)입니다.

이는 ‘미묘한, 교묘한, 감지하기 힘든’ 등의 뜻을 갖고 있는 아주 섬세한 단어인데 이를 잘 활용하면 세련된 화법을 구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미묘한, 섬세한)

“The differences are very subtle”

(차이점이 아주 미묘해서 눈에 잘 띄지 않아요)

2,“Is the little change too obvious?”

(변화 좀 준게 너무 티가 나나요?)

“No, it’s very subtle”

(아니요, 아주 미묘해요)

*obvious(아(브)비어스): 명백한, 뻔한

3,“There i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s.

(두 색깔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어요)

4,(은은한, 잔잔한)

“She gave me a subtle smile”

(그녀가 나에게 은은한 미소를 지었습니다)

5,“The perfume has a subtle scent of vanilla”

(그 향수에서 은은한 바닐라 향이 나는군요)

6,“Did you catch his subtle sucking up to the boss?”

(그가 상사에게 은근히 아부하는거 눈치챘나요?)

*suck up to someone: ~에게 아부하다 / 비위를 맞추다

7,“Is this your subtle way of saying that I’m out of shape?”

(내가 몸매가 안좋다는 걸 돌려서 말하는 겁니까?)

8,“That’s her subtle way of saying she loves babies”

(그게 그녀가 아기를 사랑한다는 걸 은근히 표현하는 방식이죠)

9,“I have some good news and some bad news for you.

There’s no subtle way to put this”

(당신에게 좋은 소식도 있도 나쁜 소식도 있어요.

이걸 어떻게 돌려 말할 방법이 없네요)

*이때 put은 ‘표현하다’의 뜻

10, “It’s very well put”

(아주 잘 표현했어요)

11,“‘Interesting’ is a subtle way to put it”

(‘재미있다’고 한 건, 그걸 완곡하게 표현한 거지요)

12,“Simply put” 또는

“To put it simply”

(간단히 말해서..)

13,“That’s one way to put it”

(그렇게 표현할 수도 (볼 수도) 있겠네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I lost track of time

*<오늘의 Survival English>

*“(일에 대한) 감(각)을 잃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Lose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뉘앙스로 많이 쓰이죠.

보통은 ‘잃어버리다’ ‘지다, 패하다’는 뜻이지만 그 외에 용례가 엄청 많습니다.

시간 가는줄 모르다, 감(각)을 잃어버리다, 연락이 끊기다. 무엇을 빼다 등등…

1,(너무 몰입해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

“I lost track of time”

(너무 재밌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2,“Sorry, I didn’t mean to be late, but I lost track of time”

(죄송해요, 일부러 늦으려고 한건 아닌데,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There is no need to apologize”

(사과할 필요 없어요)

3,“Sorry, I’m late. Traffic was a nightmare”

(늦어서 죄송합니다. 교통이 너무 막혀서…)

“I’ll let it slide this time,

but I hope you don’t make a habit of it”

(이번은 그냥 봐주겠는데, 앞으로는 상습적으로 그러지 않기를 바랍니다)

4,(감각을 잃다: lose touch)

"I haven’t played golf in a long time, so I lost my touch"

(저는 골프를 오래 안쳐서 감각을 잃어버렸어요)

5,“Wow, you haven't lost your touch”

(와, 당신은 감을 잃지 않았네요, 여전하군요)

6,(~와 연락이 끊어지다)

“We lost touch after college”

(우리는 대학시절 이후로 연락이 끊겼어요)

7,“We’ll be in touch next week”

(내주에 연락드리겠습니다)

8,“Let’s keep in touch”

(연락하고 지냅시다)

(=Don’t be a stranger)

9,(걱정하느라 밤잠을 설치다: lose sleep over)

“It is what it is.

Let’s not lose any sleep over it”

(상황이 그런 걸 어쩔 수 없잖아요.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요.

그런 일로 밤잠을 설치지 맙시다, 즉 신경쓰지 맙시다)

10,“It happens all the time. You can’t lose any sleep over it”

(그런 일은 늘 일어나는 법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11,“I wouldn’t lose any sleep over it”

(나라면 그런 일에 신경쓰지 않겠어요)

12,(살을 빼다)

“You should lose some weight before the tournament”

(당신은 경기 전에 살을 좀 빼는 게 좋겠습니다)

13,“You’d better lose this part”

(이 부분은 빼는 게 좋겠는데요)

14,“I lost sugar from my diet”
(저는 식단에서 설탕을 뺐습니다)

15,“He lost the introduction from his final draft.
(그는 최종 원고에서 서론 부분을 빼버렸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