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ph Lee Joseph Lee

민초 이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66

<하이얀 나비의 꿈>

이유식.jpg

 

하이얀 나비 한 마리가 헤일 수 없는 나비로 변해서 들과 산을 덮었다.

그리움의 저편에 반짝이는 등댓불은 생존에서 피어나는 파도소리로 장대비를 내린다. 가야할 길의 종착은 어디일까.

죽음으로 출렁이는 계곡물 소리 아름답게 흐른다. 그 계곡물이 강이 되었고 강물이 대해를 이루어 놓은 인간들의 삶, 그 곳을 찾아간다.

멀지 않아 깊었던 겨울은 이방의 산야에서 울려퍼지는 산울림의 메아리, 그 메아리 소리에 현실과 미래는 아련한 꿈의 동산을 찾아가는 것이다. 봄을 맞이하려는 일곱 색깔의 나비 떼가 사랑과 그리움을 안고 날아간다.

방향 감각도 없고 구하고 찾고 두들겨도 길은 열리지 않고 찾을 길도 없는 반응, 그 서러움 안고 멀리서 찾아오는 그리움의 뱃고동 소리 포구에서 들려오는 황홀한 환희의 노래에 희망은 춤을 춘다. 가로등 불빛의 탓이다.

역사가 돌고 돌아 작년이 금년이고 어제가 오늘의 여정에서 노란 나비가 흰 나비가 될 수 없음을 알면서도 희망은 변함 없이 찾아오고 살아 있기에 찾아오는 용기일 것이다.

언젠가 왔던 봄 나비 꽃이 피기에 나비가 찾아오고 벌들도 울고있는 그 그리움의 아름다움 그 아름다움 속에 수 많은 별들이 나를 보고 웃고 있다.

하얀 나비.jpg

나 고백한다. 피었던 봄 꽃망울을 다시 볼 수 없다해도 내 얼굴 시리도록 기다려도 소식이 없는 하이얀 나비 한마리가 쌀가루 같은 눈으로 변해서 대지를 덮는 신비, 그 신비감은 기다림에 지친 세월 속에 응고된다.

흰 나비 떼들이 너훌너훌 춤을 추는 영혼의 눈물, 보이지 않는 바람소리를 벗하며 하이얀 그리움을 향해서 삶의 진실과 결실의 꿈을 안고 나비 한마리 이정표 없는 우주의 저편 들녘을 향해 날아간다.

오! 나의 우주여! 하이얀 쌀가루같은 나의 나비가 우주를 덮고 있을 날은 언제일까?

민초 이 유식 21년 2월

Susan Lee.jpg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온타리오 백신접종 일정

*<코로나 백신 접종 일정>

백신접종.jpg

온타리오주 3월 15일부터 온라인 예약 및 접종 시작…

1차로 80세 이상 대상…

75세 이상은 4월 15일부터, 70세 이상은 5월 15일부터, 65세 이상은 6월 1일부터…

9월 초까지는 모든 주민 접종 완료 목표…

https://www.cp24.com/news/ontario-s-online-vaccine-appointment-portal-to-open-on-march-15-people-ages-80-will-start-receiving-shots-during-3rd-week-of-march-1.5322000

PAT-1.jpg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텍사스 최악의 한파 피해

*<텍사스 최악의 한파 피해>

▲텍사스 오스틴 주민들이 식료품을 사기 위해 강추위 속에 길게 줄을 서있다. &nbsp;&nbsp;

▲텍사스 오스틴 주민들이 식료품을 사기 위해 강추위 속에 길게 줄을 서있다.   

모든게 ‘꽁꽁’…역대급 혹한에 8개주 최소 38명 사망…

대규모 정전사태로 주민들 전력·식수·식량 3중고…

울타리.장난감까지 뜯어내 땔감으로…

냉기 못견뎌 집 뛰쳐나와 시동 건 차안에서…

주민들 극도의 위기감 속 분노폭발 직전…

https://www.cnn.com/2021/02/18/weather/texas-winter-storm-thursday/index.html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민초 이유식 칼럼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65

<팔순(傘壽)의 고지를 점령하고>

민초 이유식 시인

민초 이유식 시인

 일흔의 고희연(古稀宴) 때 70을 살았다는 기념으로 아이들이 각출한 거금으로 한달간 전 가족이 이태리 여행을 했었다.

 그 때 나의 생각은 내가 70의 고희를 맞이 했으니 앞으로 10년을 더 살 수 있다면 팔순(八旬)의 나의 모습을 상상하며 팔순 고지를 향한 생명력을 상상한 적이 있었다. 과연 내가 팔순까지 살아갈 수 있을까를 생각했는데 10년을 더 살았으니 10년의 나의 삶은 덤으로 살아왔음이 분명하다.

 팔순까지 하고 싶은 일도 하고 여행도 실컷하며 남은 나의 삶 10년을 더 멋지게 살리라는 각오가 부질 없는 욕망이 아님을 알게된 나 자신의 대망이 이루어졌으니 이제 또 다른 덤의 인생의 삶 10년을 더 상상함은 지나친 욕심일까, 부질없는 나의 욕망이 남에게 노추(老醜)를 보이거나 초라한 삶이 될까 두려움도 느낌이 요사이 나의 상념이다.

 잡을 수 없는 세월 따라 90고개를 향한 나는 대머리 총각이 되었고 얼굴에는 주름살이 난무하고 있슴에 서글퍼짐을 어찌하랴. 생각을 하면 내가 떠나 보낸 것도 아니고 내가 찾아간 것도 아닌데 세월이 나를 버리고 흘러 왔음을 어찌할 수 없는 일임을 알면서도 세월이란 것이 나는 간다 나는 간다를 외치며 가버렸지 않는가.

 그래도 나의 마음은 청춘인데 그 청춘의 욕망을 도저히 버릴 수가 없으니 이 얼마나 병적인 생각인가. 어쩔 수 없이 가야 하는 정해진 길인데 홀가분히 기분 좋게 가자고 작정을 하나 그 마음이란 것이 그렇지 못하니 그저 부질 없는 망상임을 알았을 때에 사무쳐 오는 허무감을 어떻게 해야 할까.

 긴 머리 화이얀 얼굴 항상 그려보는 그 화사한 웃음 새까만 눈을 지긋이 감았다가 뜨면 맑은 호수 같이 아름다운 그 아가씨의 모습을 그려보는 이 망상이 행여 비겁해지면 얼마나 불쌍한 노추가 될까를 생각하면서도 망상은 아름답게 투영이 된다.

 아집도 가난한 모습도 보이지 않고 당당히 있는 것도 없는 척 없는 것도 있는 척하며 나의 삶을 즐기며 떳떳하게 용감하게 살아가자고 곱씹어 보나 보기 싫지만 잘 생긴 나의 모습도 간곳이 없어지니 이 일을 어찌 해야 하나.

 자신이 자신에게 물어도 보고 답도 하면서 낄낄 웃는다. 더 엉뚱한 생각은 내가 9순을 살고 난 후 또 10년 덤의 인생을 산다면 이 기막힌 일을 어찌하면 될까 하는 어처구니없는 생각을 할 때이다. 아마 이는 나의 가족에게도 큰 재앙이고 나에게도 큰 재앙이 아닐까를 추상해 본다.

 어쨌던 바람같이 불어가는 세월이니 그저 건강히 욕심을 버리고 친지에게 감사하고 친구들께 감사하고 밉던 곱던 인연이 있었던 모든 분들께 감사하면서 힘자라는데 까지 남을 위하여 희생도 하며 마음을 비우고 살아가면서 그저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당신이 최고입니다. 부족한 사람 많이 지도해 주십시오를 노래하며 인생 100세 시대을 그려 본다.

 이는 내가 아닌 다른 모든 분들이 100세 시대를 만끽 하기를 기원 드려 보는 마음이다.

 나아가 남은 나의 삶이 좀더 알차고 성실히 살아가며 인류를 위하여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뜻 있는 일을 하고 이 세상을 떠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멘'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흥얼 거리는 이 허수아비를 어찌 하려나.

 내가 캐나다 나이로 팔순 고개를 점령했으니 100여년 전 이조시대에 조상님들의 평균 수명이 47.3세 였으니 그 때와 비교를 하면 많이도 살았는 것 같다. 80 고지를 점령했으니 상당한 실력자가 아닌가. 코비드라는 역병이 없었다면 가까운 친구들이나 학연의 동문들을 초대해서 개선 장군이라 폼을 잡으며 소주라도 한잔 하련만 그렇지 못하니 아쉽기만 하다. -민초

Susan Lee.jpg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100세 청춘

*<100세 청춘>

오늘 100세 생일 맞은 헤이즐 매캘리언 전 미시사가 시장…

헤이즐 매캘리언.jpg

8년 전 92세로 은퇴하기까지 36년간 공직생활...

지금도 새벽부터 펄펄 날며 왕성한 활동...

무병장수의 비결?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라!"...

헤이즐 매캘리언1.jpeg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민초 시단

민초 시단

누군가를 사랑함은…

민초 이유식 시인

민초 이유식 시인

<이유식 시인>

 

누군가를 사랑함은

사랑을 받는 것보다 아름다우리라

받는 사랑보다 주는 사랑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고자 하지 않으면 모른다

 

쌀가루 같은 눈이 휘날리는 창가에서

로키산 계곡에 쌓여가는 눈더미의 두께 같은

나의 사랑을 당신이 알려고 하지 않아도

나의 마음은 주는 것에 행복을 만끽하리라

 

스쳐가는 숱한 사람들

아는 듯 모르는 듯 만났던 인연의 끈

끈끈히 엮여진 가변의 진리라 해도

왜 너에게서만 받는 것보다

주는 것으로 행복을 찾아야 하나

슬퍼하거나 미워하지 않을 사람 하나

그 기막힌 사연은 어디에서 연유를 했을까

 

아비규환의 인생사가 바람에 휘날리고

잠을 잃은 아득한 피안의 넝쿨에서

들장미로 피어나는 아지랑이꽃도

사랑과 인연이 그렇게 가고 있음을

 

주는 것의 행복을 찾는 소떼들의 울음소리

사랑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행복했기에

내 마음의 마지막의 절규라 해도

그대를 그리워 했기에 나는 행복했나니

<詩作의 産室>

성경을 제대로 정독을 하면서 읽지도 않았으나 내가 성경에서 즐겨 읽는 구절은 마태복음 5장에서 7장까지, 또한 사도행전 20장 35절이다. 읽고 또 읽어도 읽고싶은 말씀, 인생을 옳바르게 살아가는 최고의 지침 말씀이다.

이 작품은 내 마음 속에 자리잡은 성경의 경구이다. 사랑을 받기 전에 베풀고 주면서 살아 갈 수 있는 사람들이 된다면 인류는 평화스럽게 살아가게 될 것이 아닐까.  <민초 이 유식 21년 2월 초>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랩터스 사장 소송 취하

*NBA 토론토 랩터스의 마사이 유지리 사장 폭행관련 소송 취하…

랩터스.jpg

2019 NBA 챔피언 결정전서 토론토 우승 후 축하 세리머니 과정에서 캘리포니아 보안관 폭행혐의로 피소-맞고소로 시끌…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오라클 아레나에서 열린 2018-2019 NBA 챔피언결정전(7전4승제) 6차전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114-110으로 랩터스 승리…

구단 관계자들과 라커룸 바깥에서 TV로 경기 지켜보던 유지리 사장, 우승 확정되자 코트 진입 시도하다 제지하는 보안관 때린 혐의…

https://www.thestar.com/sports/raptors/2021/02/10/sheriffs-deputy-involved-in-altercation-with-raptors-president-masai-ujiri-drops-lawsuit.html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제13, 14회 민초해외동포문학상 작품공모

Mincho 889 Color.jpg

목적

해외 750만 해외동포들에게 민족의 정체성 고양과 고유문화의 승계 발전에 일조코자 캐나다 캘거리시에 거주하는 민초 이유식 시인이 제정 설립한 상임.

모집 쟝르 및 기간

1) 시, 소설, 수필, 시조 등 문학쟝르에 따라 당해 연도의 자문위원회의 회의 결과에 따라 정해지며 3월부터 5월 31일 사이 작품 응모를 받아 8월경 수상자를 발표하며 9, 10, 11월경 시상식을 갖게됨. 단 올해는 일정 계획이 COVID-19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

2) 응모작  (1)시: 출간한 자작 시집 및 시 10편 (2)소설: 현재까지 출간한 대표작 1편과 (단편의 경우) 발표되지 않은 신작 3편 (3)수필: 출간된 수필집 및 신작 수필 5편 (4)시조도 시 작품과 동일함. 응모자는 한 쟝르에만 응모를 하시기 바라며 기타 쟝르 등 어떤 쟝르든지 응모를 할 수 있음. ▶전화문의: 403-606-2618 이유식 시인(HP)

3) 2020 년13회 문학상은 유럽주을 유럽에서 응모를 받았으나 COVID-19 관계로 14회와 합쳐서 유럽에서 응모 작품을 받음(지금까지 세계6대주를 1회 순회한 문학상은 금년 13회부터는 해외에서 출생한 이민 2세, 1.5세대 등 거주국에서 성장한 동포들이 우리 글로 쓴 작품을 우대함.

4) 시상식은 수상자가 선정된 국가에서 수상자 및 한인사회와 상의하여 수상자의 국가에서 시행하며 조촐한 시상식. 비용은 문학상 운영위원회에서 부담하며 문학상 제정자 이유식 시인이 참석하여 시행함(단, COVID-19등과 여행의 자유 등 특이한 사항이 없는 경우에 시행하며 COVID-19 등이 지속되면 순연될 수 있음)

응모작 제출

1) 우편 주소 : Yoo Sik (Rudy) Lee ; 110 Lake Erie Place S.E Calgary, Alberta, CANADA. T2J 2L4

2) 이메일 : ysspoet7788@hanmail.net

작품 응모 요령 등에 관하여 문의를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응모작은 mailing address 로 우송해 주시기 바람.

3) 응모작 제출시 작가의 간단한 약력과 명함판 사진을 첨부하시기 바라며 제출된 작품 등은 일절 반환치 않음.

심사위원

심사위원: 한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와 작가들로 구성되며 심사위원은 자문위원회 의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수상금액 및 특전

 수상금액은 캐나다화 5,000불과 상패가 증정되며 모국의 종합 문예지인 "연인과 국제문예” 등에 발표되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줌. 특별한 경우 차상 수상자를 선정하며 상금은 캐나다화 2,000불.

현재까지 수상자 명단

1회 캐나다 변창섭 시/ 2회 중국 조룡남 대상 시. 차상 김미화 시 / 3회 캐나다 이동렬 박사 수필/ 4회 미국 배정웅 시/ 5회 독일 전성준 소설/ 6회 한국거주 캐나다 시인 강미영 시/ 7회 러시아 엄 넬리 박사 수필/ 8회 브라질 안경자 소설/ 9회 몽골 강의현 교수 소설/ 10회 미국 최연홍 박사 시 대상, 캐나다 유인형 차상 수필(작고)/ 11회 호주 이귀순(테리사 리) 소설/ 12회 소설 미국 김수영 목사 시

민초해외동포문학상 운영위원회 회장 이유식(캐나다) 부회장 조성국 (한국)

 

Read More
Joseph Lee Joseph Lee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69

<로키산 시인의 戀歌, 최연홍 시인을 보내고>

민초 이유식 시인

민초 이유식 시인

앵두나무 우물가도 없는 로키산 계곡에서 갈래머리 땋은 촌 처녀, 나를 좋아하던 재향이 처녀를 접목시키며 황량한 겨울산을 오른다. 로키산의 시인이라 부르고 싶다는 나의 친구 미국에서 제2의 윤 동주 시인이라 부르는 친구가 나에게 붙여주고 싶다는 닉, 그 닉을 붙여주던 나의 친구 닥터 최의 장례식을 줌이라는 영상으로 올렸다.

고 최연홍 시인

고 최연홍 시인

2021년 1월 16일 저녘 일곱시 그 친구의 영정 앞에 머리를 숙이니 눈물이 왈칵 쏫아진다. 나에게 로키산의 시인이라는 닉을 붙여준 그 친구가 원망스럽다. 잊혀지지 않는 그의 인간 됨됨을 흠모하니 그렇게 훌쩍 소식 없이 내 곁을 떠날 줄 알았다면 그곳 워싱톤을 찾았을 텐데 이 경천동지할 현실 앞에 생존의 허무함에 다시 한번 망연자실을 한다.

들려오는 메아리 소리로 그 친구를 불러 본다. 아무리 찾고 찾아도 내가 로키산의 시인이라는 닉을 얻기에는 너무 부족하여 나의 닉을 붙여주고 싶다는 친구에게 푸념을 했다, 시를 공부하지 않았고 건전한 취미생활을 하고자 시라는 것을 쓰기 시작한 내가 어이 로키산의 시인이란 닉을 얻을 수 있느냐고 응석을 부렸다,

말을 잊은 나의 친구 왈 자네는 모국의 어느 <강>의 시인이라는 시인 못지 않게 시를 잘 쓸 수 있다며 격려를 한다. 바람이 차고 찬 로키산 까마득히 먼 곳에서 폭풍우 치고 며칠째 쌀눈이 내린다. 눈 보라 휘날리는 고속도로에 차를 몰았다.

돌아오지 않는 강의 <마릴린 몬로>도 만나고 미국의 나의 친구 닥터 최와 술잔을 기울이던 <림록> 호텔 창가에서 로키의 <런들> 산맥에 휘날리는 눈 보라를 마음 속에 담으며 와인잔을 꺾는다.

떠난지 며칠이 되지 않았건만 짧은 만남에서 백년지기 친구가 된 닥터 최 동갑네기인 우리는 만나자 서로 친구가 되어 나네하는 흉허물 없는 지란지교의 친구가 되었다 그 정의롭고 선비 정신의 사고와 호탕한 그 친구를 찾는 연가를 부른다.

알버타의 꽃 들장미가 나를 찾아오면 로키산의 시인이 될 수있을까 하는 상념과 수줍음이 눈꽃 속에서 유영을 한다.

로키산에서 피어날 연두빛 자작나무의 햇순이 나를 보고 웃고 로키산의 산양 떼들이 로키에서 벗을 하자면서 나를 부를 것만 같은 감정을 소화하려고 무작정 차를 몰고 넘버원 고속도로를 달려 본다.

민족 시인, 그리움의 시인, 로키산의 시인, 아름다운 닉들이 나를 괴롭힌다. 빈털털이의 눈물이 거기에 있다.

지난해와 오는 해는 나의 생존을 암울하게 함에 나 자신은 요사히 완전히 멘붕 상태인 것 같다. 이는 나를 지도해 주시고 아껴주시던 은사님, 반세기를 사제지간의 정을 맺고 항시 걱정과 지도를 아끼지 않았던 나의 은사님이 지난해 12월 15일 낙상으로 먼 길을 떠나셨다.

대한민국 학술원 회장에 피선되었다는 카톡이 같은 제자인 J박사가 보내어 왔었을 때 우리는 얼마나 기뻐 했던가. 생각을 더듬으니 이제는 조국에서 나를 진심으로 사랑해 주고 지도해 줄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슬픔을 어찌해야 하나? 내가 조국을 찾을 발길이 한발한발 멀어져감에 눈물이 흐른다.

오늘도 로키산이 나를 기다린다. 기다림의 미학이 있다며 나를 기다린다. 기다림에 부응하지 못하는 나는 석두다. 또한 멍청이다. 로키산의 시인에게 미안해서 먼 하늘을 본다.나의 정신적 안식처인 이 로키를 찾을 때 마다 나는 친구 닥터 최를 그리며 친구야 어이 그리 소식없이 훌쩍 먼길을 떠났느냐는 묻고 또 물으며 그리워 할 것이다.

오늘도 쌀가루 같은 흰 눈이 나의 시야를 가린다. 영면하소서 나의 친구 최연홍 박사. 이 로키산의 시인이 갈 길은 어디일까 (2021년 1월 민초)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