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에 화재, 국가전산망 올스톱…방송미디어통신위법 국회 통과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국가 전산망이 멈췄다…화재에 전산시스템 '셧다운'
대전 국정자원 전산실서 배터리 화재…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정부 "우체국 금융·우편 등 파급효과 큰 서비스부터 신속 복구"
(서울)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 있는 전산실 내 리튬이온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
정부는 서버 등 전산장비 보호를 위한 선제적 중단 조치라고 강조했으나, 화재에 국가 전산망이 속수무책으로 당하며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온통 먹통이 됐다는 비판을 피해 갈 수 없게 됐다.
리튬이온배터리 특성상 화재 진압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탓에, 정부는 정확한 피해 현황도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복구 작업에도 착수하지 못해 국가 전산망 정상화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탄 모습
◇ 전산실 배터리 화재…장비 보호위해 전체 시스템 647개 '셧다운'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국가 전산망의 '심장부'라 볼 수 있는 국정자원 대전본원에 불이 난 것은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께다. 전산실 내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UPS)'를 작업자가 지하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불꽃이 난 것으로 추정된다.
UPS는 전산 시스템에 단절 없이 전기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장치로 알려져 있다.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는 58V 리튬배터리로, 12개를 수납하는 캐비넷 총 16개 중 8개가 불에 탄 것으로 소방당국은 파악했다. 내부에 있던 리튬배터리의 절반가량이 소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화재로 전산실 내부에 열기가 강해지자,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해주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췄고, 서버 등 전산 장비가 훼손될 것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시스템 647개의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화재의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됐고,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대전 본원과 분원 개념인 광주·대구센터를 둔 국정자원에는 정부 업무서비스를 기준으로 모두 1천600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있다. 이중 가동이 중단된 시스템 647개는 대전 본원에 있다. 전체 국가 정보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마비 상태에 놓이게 된 것이다.
김 차관은 "현재는 항온항습기를 우선 복구 중이며, 이후에 서버를 재가동해 복구 조치를 하고자 한다"며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정부서비스 장애부터 신속히 복구하겠다"고 강조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7022752530?section=society/all&site=topnews01_related...
……………………………………….
소방청 "국정자원 화재, 오후 6시 완전 진화…발생 22시간만"
"불에 탄 리튬이온배터리 절반 넘게 반출…오늘 작업 완료 예정"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마무리하고 있다.
(대전)26일 오후 8시 20분께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약 22시간만인 27일 오후 6시께 완전 진화(완진)됐다.
소방 당국은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해산하고, 상황대책반으로 전환했다. 또 전산실에서 발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를 2∼3일 정도 소화수조에 담가둬 만일에 있을 수 있는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를 강화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기준 전소된 384개 배터리 가운데 절반이 넘는 212개를 밖으로 옮겼다. 이날 안에 반출 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건물 내부는 송풍기를 이용해 연기를 빼는 배연 작업을 했으며, 5층 전산실에 화염과 연기가 모두 제거돼 재발화 가능성이 없다고 보고 완진을 선언했다.
이번 화재로 작업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건물 일부와 전산 장비가 타는 등 재산 피해도 났다. 소방과 경찰 등 관계기관은 조만간 합동 감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할 예정이다.
발화가 의심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확보, 이동식 침수조에 넣어 냉각작업을 하고 있다. 이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발화 관련 정밀 감정을 할 계획이다. 소방청은 소방시스템 정상화를 위한 복구 작업도 벌이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일부 영향을 받은 다매체 신고 중 119 문자신고는 112와 공동대응 체계를 가동해 응급조치를 완료했다. 영상신고 및 웹신고 등도 차질 없이 복구해 국민 불편이 최소화하도록 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이번 화재로 인한 국민 불편이 신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조해 복구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까지 현장에 진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서버를 재가동하는 등 복구 작업에 착수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일정한 온도와 습도 유지가 필요한 전산실에 화재로 항온·항습기가 고장 나면서 서버 전원은 모두 끈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7051552530?section=society/all&site=topnews02...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통과되고 있다.
(서울)2008년 출범한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를 설치하는 내용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이 여당 주도로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이 시행되면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돼 현 정부·여당과 갈등을 빚어온 이진숙은 임기 종료로 자동 면직된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177명 가운데 찬성 176명, 기권 1명으로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을 의결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범여권 정당들은 찬성표를 던졌고,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다. 법안에 반대하는 국민의힘은 표결 참여를 거부했다.
법안은 방통위 폐지 후 새롭게 만들어질 방송미디어통신위의 역할과 운영 방법 등에 대한 규정을 자세하게 담았다.
신설될 위원회는 대통령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현재 방통위 역할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담당하는 유료방송·뉴 미디어 등 관련 정책까지 폭넓게 맡는다. 방통위, 과기정통부로 이원화된 방송 분야 정책 체계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다.
위원회는 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 1명, 비상임위원 4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된다.
대통령이 위원 위원장 포함 2명을 지명하고, 여당과 야당이 각각 2명, 3명의 위원을 추천하도록 해 위원회 내 여야 구도는 4대 3이 된다. 방통위는 상임위원 5인 체제로 여야 3대 2 구도로 이뤄져 있다.
법안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로 개편하고 심의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를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국회는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 통과 후 곧바로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에 상정했다. 국민의힘은 이 법안에 대해서도 필리버스터에 나서면서 여야간 다시 필리버스터 대치를 벌이게 됐다.
국회법 개정안은 전날 통과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따른 정부 부처 개편에 상응하도록 국회 상임위원회 명칭과 소관 사항을 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개정안에 따라 이름이 바뀌는 상임위는 기획재정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로 총 3곳이다.
기재위는 소관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로 분리됨에 따라 '재정경제위원회'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재정경제부와 국가데이처 소관 사항을 관할하게 된다.
환노위는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여가위는 '성평등가족위원회'로 변경된다. 각 위원회의 소관 부처인 환경부가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여성가족부가 성평등가족부로 개편됨에 따른 것이다.
명칭은 그대로이지만 운영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각각 기획예산처와 국회기록원, 산업통상부와 지식재산처 소관 사항을 맡게 된다. 법안에는 국회기록원의 설립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도 있다. 국회기록원은 의정활동 관련 기록물 관리에 관한 업무를 하게 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7053351001?section=politics/all&site=topnews02...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 진보 행동 정상회의
(런던)서방 주요국에서 극우 세력이 급부상한 가운데 좌파 또는 중도 좌파 정치인들이 영국 런던에서 머리를 맞대고 국제 정세와 현안을 논의했다.
올해 '세계 진보 행동 정상회의'(Global Progress Action Summit)에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크리스트룬 프로스타도티르 아이슬란드 총리 등 현직 정상이 참석했다.
저신다 아던 전 뉴질랜드 총리, 미국 민주당의 JB 프리츠커 일리노이 주지사와 피트 부티지지 전 교통장관 등도 참석했다.
영국 '레이버 투게더'(Labour Together)와 공공정책연구소(IPPR), 미국진보행동센터(CAP Action) 등 진보 성향 싱크탱크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서방 주요국 진보 정권이 극우 정당들로부터 위협받는 가운데 열렸다.
IPPR은 이번 행사에 40여 개국 진보 지도자가 모였다면서 "전 세계 시민이 점점 더 주류 정치를 거부하는 가운데 현대에 가장 중요한 정치적 순간에 이번 회의를 열게 됐다"고 설명했다.
스타머 총리는 "우리 정치가 어떻게든 죽어가고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우리 사회에 뿌리내린 일부 도전과 거짓말에 직접적으로 맞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중도좌파 정당들은 꽤 양호한 해를 보내고 있다"며 "각국의 애국적 쇄신은 존엄성과 존중, 평등, 정의의 가치에 바탕을 두고 있고, 사회민주적 수단으로 이를 성취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확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중도좌파 노동당은 지난해 7월 총선에 압승해 집권했으나 우익 포퓰리즘 성향 영국개혁당에 지지율이 역전당했다. 지난 13일 런던에서는 15만명이 운집한 반이민 극우 집회가 열렸다.
이 집회에서 일론 머스크는 화상 연설을 통해 "영국이 통제되지 않은 대규모 이주로 급격히 침식당할 것이고, 폭력이 여러분에게 닥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타머 총리는 이 집회를 언급하며 "역사학자가 아니더라도 그런 독이 어디로 향하는지 알 수 있다. 이는 상대를 위협하려는 벌거벗은 언어이고 전략"이라며 정치 분열을 조장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영국은 일각에서 믿고 싶어 하는 대로 무정부 상태의 황무지가 아니다"라며 이민 통제, 국가안보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발표한 디지털 신분증 도입 계획도 불법 이민 방지 노력의 하나로 소개했다.
국민이 우익 포퓰리즘 정당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이유를 진보 지도자들이 알고 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달았다.
니라 탠든 미국진보행동센터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분열적, 민족주의적 수사는 아주 호소력이 있을 수 있다"며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노동 계층에 해를 끼치고 있고 이는 전 세계에 경고 신호"라고 말했다.
IPPR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없다면 진보주의는 구시대적 아이디어에 기대 현상 유지만 하면서 사람들의 신뢰를 잃을 위험이 있다"며 "사람들이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므로 포퓰리스트가 말하는 변화와 불만을 다루면서도 진보적 아이디어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s://www.theglobeandmail.com/world/article-carney-starmer-global-progress-action-summit-trump/...
……………………………………………………
브램튼서 또 교통사고, 보행자들 부상
*브램튼 교통사고 현장
어제(금) 오후 7시 30분경 브램튼의 Timberlane Drive and Ray Lawson Boulevard intersection에서 차량 두대가 충돌하면서 길을 걷던 보행자들(성인 1명과 어린이 3명)이 차에 치여 병원으로 이송됐다.
두 차량의 운전자들 역시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Peel지역 구급당국은 피해자 4명 가운데 1명이 외상센터로 옮겨졌으며, 나머지 3명도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안정적인 상태라고 전했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09/26/4-pedestrians-struck-in-brampton-crash/...
………………………………………
이토비코서 심야 흉기공격 사건 발생, 1명 부상
*이토비코의 심야 흉기공격 사건 현장
어제(금) 밤 11시경 이토비코 Dundas Street West and Mabelle Avenue 지역에서 흉기공격(stabbing) 사건이 발생해 한 남성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구급 당국은 이 남성이 생녕이 위험한 위중한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고 밝혔다.
경찰은 용의자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09/26/man-in-hospital-after-etobicoke-stabbing/...
…………………………………………………
리치몬드힐서 40대 남성 표적 총격 사망
*리치몬드힐 총격 살해 사건 현장
(속보)지난 25일(목) 리치몬드힐 주택가에서 발생한 총격사건의 전모가 드러났다.
사건은 당일 오후 6시 45분경 Parker Avenue and Poplar Drive, north of King Road 인근에서 일어났다.
총격 신고를 받고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피해자 이삼 사드(47. Issam Saad)는 도로에 쓰러져 있었고, 구조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사망이 확인됐다.
현장 인근 CCTV 영상에는 검은 옷을 입은 용의자가 총기를 들고 피해자를 추격하는 장면과 총성이 울린 뒤 피해자가 쓰러지는 모습이 담겼다.
이후 회색 SUV 차량이 나타나 용의자가 탑승해 달아났으며, 곧이어 King Road and Dufferin Street 부근에서 불에 탄 혼다 파일럿 차량이 발견돼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표적 범행으로 보고 있으며 용의자 2명을 추적 중이지만 아직 신원이나 구체적인 인상착의는 공개되지 않았다.
살인사건 전담팀은 목격자나 현장 인근 영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민들의 제보를 요청하고 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