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평화상에 베네수엘라 여성 야권 지도자…우편물 배송 일부 재개 전망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노벨평화상 수상자 베네수엘라의 야권 지도자 마차도

노벨평화상에 독재 맞선 '베네수엘라 민주화 불씨' 마차도

자유선거·대의통치 옹호…마두로 철권통치 맞서 현지투쟁 지속

"권위주의 확산은 세계적…민주주의 위기에 수호자 인정해야"

노벨 유지 받들었다 평가…명예 노골적 눈독들인 트럼프 수상 불발

올해 노벨평화상은 독재에 맞서 위험 속에서도 민주주의의 근본 가치를 옹호해온 베네수엘라의 여성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58)에게 돌아갔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를 증진하고 독재 체제를 평화적으로 민주주의로 전환하기 위해 투쟁한 공로로 마차도를 2025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0일 발표했다.

마차도는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철권통치에 맞서 자유로운 선거와 대의 민주주의 제도를 부르짖고 있는 정치인이다. 그는 2024년 마두로 대통령의 대항마로 대권에 도전했으나 정적들에 대한 탄압 속에 선거에 나서지 못했다.

마두로 정권의 폭압 때문에 야권 지도자들은 거의 모두 국외로 탈출했으나 마차도는 베네수엘라에 남아 은신하며 민주화 운동을 지속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노벨위원회도 "지난 한 해 동안 마차도는 은신 생활을 해야 했다"며 "생명에 대한 위협이 심각한데도 그는 자국(베네수엘라)에 남아 있었으며 이 선택이 수백만 명에게 영감을 줬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이유로 노벨위원회는 마차도에 대해 "용감하고 헌신적인 평화의 수호자"라며 "짙어지는 암흑 속에 민주주의의 화염이 계속 타오르도록 한 여성"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노벨위원회는 "마차도가 민주주의의 도구가 평화의 도구이기도 함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마차도 덕분에 시민의 기본권이 보호되고 시민의 목소리가 전해지며 다른 미래를 향한 희망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2025년 노벨평화상 영예를 안은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노벨위원회는 "총알(bullets)보다 투표용지(ballots)를 선택한 것"이라는 마차도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그가 요구한 자유선거가 한때 분열했던 베네수엘라 야권을 통합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마차도가 통합의 핵심적 상징이 됐다고 설명했다.

마차도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권위주의 확산과 함께 민주주의 규범이 흔들리는 현재 지구촌에 노벨위원회가 보내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노벨위원회는 "민주주의는 지속적인 평화의 전제조건"이라면서 "그러나 우리는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점점 더 많은 권위주의 정권이 규범에 도전하고 폭력에 의존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민에 대한 베네수엘라 체제의 억압은 세계에서 유일한 게 아니다"며 "우리는 통치자들이 법치를 유린하고 자유로운 언론에 침묵을 강요하며 사회를 권위주의 통치, 군사화로 몰아붙이는 이런 똑같은 추세를 세계적으로 목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프레드 노벨은 인류 평화에 이바지한 인물이나 단체에 평화상을 수여하라는 유지를 남기면서 국가 간 우애 증진, 군축, 평화 증진 등 세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노벨위원회는 마차도가 자국 야권을 하나로 통합하고 자국의 군사화에 흔들림 없이 맞섰으며 평화로운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확고히 지지함으로써 세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평가했다.

마차도는 1901년 시상을 시작한 노벨평화상의 106번째 수상자이며, 여성으로는 20번째 수상자다. 수상자는 상금 1천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4천만원)를 받게 된다. 노벨의 초상과 'Pro pace et fraternitate gentium'(인류의 평화와 우애를 위해)이라는 라틴어 문구를 새긴 18캐럿 금메달도 함께 받는다.

마차도의 수상으로, 관심을 모았던 도널드 트럼프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불발됐다.

요르겐 와트네 프리드네스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트럼프의 수상 관련 로비에 대한 질문에 "우리는 매년 무엇이 평화로 이끄는지 말하고 싶어 하는 이들의 편지를 수천 통씩 받는다"며 "우리는 오직 노벨의 업적과 유지에 기반해서만 결정을 내린다"고 답했다.

https://www.cnn.com/2025/10/10/world/video/maria-corina-machado-wins-nobel-peace-prize...

……………………………………….

이스라엘군 "휴전 발효돼 철수"…인질석방은 13일 정오까지

10일 정오부터 휴전 발효…인질 소재 불분명해 석방 지연될 수도

*가자지구 기존 주둔지서 철수하는 이스라엘군

이스라엘군이 10일 낮 12시를 기해 가자지구에서 휴전이 발효됐으며 병력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성명에서 "낮 12시 이후 병력이 휴전 합의와 인질 송환에 대비해 변경된 전개선을 따라 병력 배치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군은 남부사령부 병력이 재배치 지역에 주둔하면서 즉각적인 위협 제거 활동을 계속한다고 설명했다. 휴전 이후에도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언제든 군사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고 경고한 셈이다.

이스라엘 매체 와이넷은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 구축했던 전초기지와 방어진지를 해체한 뒤 철수를 마쳤다고 보도했다. 발전기, 안테나, 관측소 등 다양한 시설이 해체됐다는 설명이다.

이스라엘군은 새로운 주둔 지점에 대해선 자세한 설명을 삼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자지구 민방위대 고위 관계자가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 등 여러 지역에서 철군했다"고 말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이스라엘군 차량도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 일부 지역에서 철수했다고 덧붙였다.

……………………………………………

이스라엘에 구금됐던 국민 자진추방…튀르키예 통해 귀국길

이스탄불 도착…정부 "현지 공관 통해 필요한 영사조력 지속 제공"

*김아현 활동가

이스라엘에 구금됐던 한국인이 나포 이틀 만인 10일 오전 풀려났다.

외교부는 이스라엘에 나포됐던 한국 국적 활동가 김아현 씨(활동명 해초)가 항공편을 통해 자진 추방돼 조만간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과 강정친구들 등 시민단체와 외교당국에 따르면 김 씨는 튀르키예 정부가 협조한 특별 항공편을 통해 다른 추방자들과 함께 이스탄불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스탄불에서 한국으로 향하는 직항편이 구해지지 않을 경우 김 씨가 이스탄불에서 며칠 더 체류하거나, 다른 제3국을 경유하는 항공편을 마련해 귀국해야 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씨는 탑승했던 국제 구호선단 선박이 가자지구에 접근하려다가 지난 8일 이스라엘군에 나포돼 구금된 바 있다. 이후 외교부는 본부와 주이스라엘대사관 모두 김 씨의 안전 확보, 신속 석방, 조기 귀국을 위해 총력 대응해 왔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전날 주이스라엘대사관 영사를 김 씨가 구금된 시설에 급파해 영사면담을 실시하고 건강과 안전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주이스라엘대사관 영사는 공항에서 김 씨의 항공기 탑승 및 이륙까지 확인했고, 주이스탄불총영사관 등 현지 공관을 통해서도 필요한 영사조력을 지속해서 제공할 예정이다.

대사관은 사전에 김 씨에게 가자지구 방문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외적 여권 사용 허가 없이 여행 금지지역을 방문하면 여권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음을 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락을 시도한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0127551504?section=international/all&site=topnews02…

………………………………………….

코스피 연일 사상최고치 경신…반도체 훈풍에 단숨에 3,600 돌파

외국인, 전기·전자 8천500억원 순매수…삼성전자만 6천억원 '사자'

"연휴기간 글로벌 상승분 따라잡기"…"상승종목 비율 30% 그쳐" 쏠림심화 우려도

*1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주가 및 환율 전광판 앞에서 활짝 웃고 있다.

코스피가 '황금연휴'를 마친 10일 단숨에 3,600선을 돌파한 데는 미국발 반도체 훈풍의 영향이 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1.39포인트(1.73%) 오른 3,610.60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48.90포인트(1.38%) 오른 3,598.11로 출발해 장 초반 사상 처음 3,600선을 돌파한 후 상승 폭을 줄였다.

그러나 다시 오름폭을 키우며 종가 기준으로도 3,600선을 넘었다. 한때 3,617.86까지 올라 장 중 역대 최고치를 새로 쓰기도 했다.

코스피는 연휴 시작 직전인 지난 2일에도 3,549.21에 거래를 마감하며 사상 처음 3,500선을 뚫기도 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1,420원이 넘는 높은 원/달러 환율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이날 하루만 1조600억원 순매수했다. 각각 5천20억원, 5천940억원 순매도한 개인과 기관 투자자와 대비된다.

외국인 투자자의 '사자'는 반도체 종목에 집중됐다.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경우 5천998억원 순매수하면서 주가가 6% 넘게 오르는 데 한몫을 했다.

이는 연휴 직전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해 '스타게이트 이니셔티브' 일환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과 파트너십을 발표한 데 이어 연휴 동안 미국의 반도체 회사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AI 수요 급증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아울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AI 산업에 대한 낙관론을 펼치고,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아랍에미리트(UAE) 수출을 승인한 점도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0105100008?section=industry/all&site=topnews02...

……………………………………………

캐나다포스트 노조, 전국 총파업에서 순환파업으로 전환

Canada Post 노조가 내일(토)부터 전국적인 총파업을 순환파업 형태로(from a countrywide strike to rotating strikes)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멈춰 있던 우편과 소포 배송이 일부 재개될 전망이다. 캐나다우편노조(CUPW)는 순환파업이 지역별로 오전 6시부터 시작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발표는 노조가 캐나다포스트 담당 연방 장관 조엘 라이트바운드와 면담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노조는 회동에서 우편 서비스 개편과 관련된 우려를 전달했다.

노조에 따르면 정부는 지역 우체국 폐쇄와 커뮤니티 우편함 확대 등을 포함한 운영 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며, 노조는 이를 철회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라이트바운드 장관은 “변경 사항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10/09/cupw-to-replace-nationwide-canada-post-walkout-with-rotating-strikes/...

……………………………………………

401 고속도로서 소방차 추돌사고…소방관 2명 부상

*401 고속도로 교통사고 현장

오늘(금) 새벽 2시 30분경 토론토 동쪽 뉴튼빌 로드(Newtonville Road) 인근 401번 고속도로 서쪽방향 차선에서 트랙터 트레일러가 소방차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 소방관 2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사고는 이전 교통사고를 처리하던 긴급 구조대가 현장에 있던 중 일어났다. 소방차는 교통을 차단하기 위해 차선 위에 세워져 있었으며, 이때 대형 화물차가 뒤에서 소방차를 들이받았다.

사고 당시 소방관 두 명은 차량 안에 있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로 알려졌다.

이 사고로 오샤와 동쪽 뉴튼빌 로드 구간의 401번 서행 차선이 전면 통제됐으며, 경찰은 운전자들에게 해당 구간에서 주의 운전과 우회로 이용을 당부했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10/10/highway-401-crash-newtonville-firefighters-injured-opp/…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Next
Next

토론토 ALCS 진출 눈앞…팀호튼 커피값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