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not letting me i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실망시키지 않겠습니다. 약속해요”
‘무엇을 해주겠다’고 할 때 let을 쓰면 훨씬 정중하게 들립니다. let은 기본적으로 ‘허락’을 뜻하니까요.
가령 누구를 도와줄 때 “I will help you” 도 좋지만 “Let me help you”라고 하면 좀 더 정중하게 들리죠.
한걸음 더 나아가 격식을 차린 것은 “Please allow me to help you”가 되겠습니다.
특히 공식적인 자리에서 정중하게 자기소개를 할 때는 “Please allow me to introduce myself”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무엇을 가볍게 거들어 줄 때는 그냥 간단히 “Allow me”(도와 드릴께요) 해도 됩니다.
오늘은 let의 다양한 용법들을 알아봅니다.
1,(무엇을 허락하지 않을 때: not letting)
'“I’m here, but she’s not letting me in”
(제가 여기 왔는데 그녀가 문을 열어주지 않네요, 즉 들어오지 못하게 막네요)
2,(운전중 끼어들려고 할 때)
“They’re not letting me in”
(저들이 끼어드는 걸 허락하지 않는군요, 즉 끼어들 수가 없네요)
3,(컴퓨터에 log in 등이 안될 때도)
“It’s not letting me in”
(컴퓨터 로그인(접속)이 안돼요)
*이것을 I can’t log in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내가 방법을 몰라서 그런다’는 뉘앙스가 깔려 있죠.
4,(프레젠테이션을 하려는데 컴퓨터에 문제가 있을 때)
“It’s not letting me in for some reason.
Please bear with me”
(무슨 이유인지 접속이 안 되네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5,“It’s not letting me open for some reason”
(웬일인지 컴퓨터가 열리질 않네요)
6,“It’s not letting me pause it”
(일시 정지를 하려는데 안 되네요)
7,“It’s not letting me type”
(타이프가 안쳐져요)
*“I can’t type”는 타이프 칠 줄을 모른다는 의미.
8,“I need to retype the material,
because it’s not letting me copy and paste”
(복사 & 붙여넣기가 안 돼서 자료를 다시 타이핑해야 해요)
9,“For some reason, it’s not letting me share the information here”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여기서는 정보를 공유할 수가 없네요)
(=I can’t share the~)
10,(실망시키다: let someone down)
“Don’t let me down”
(나를 실망시키지 말아요)
11,“I won’t let you down”
(당신을 실망시키지 않겠습니다)
12,“Thank you for this opportunity.
I promise I won’t let you down”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드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겠습니다)
13,“People are counting on us.
We can’t let them down”
(사람들이 우리에게 기대를 하고 있는데 그들을 실망시킬 순 없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