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오픈AI 글로벌 파트너로 우뚝…미 연방정부 ‘셧다운’ 돌입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픈AI 샘 올트먼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韓, 오픈AI 글로벌 파트너로 우뚝…AI·메모리 전략적 동맹 구축

삼성·SK,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메모리 공급…'30년 메모리 1위' 입지 재확인

"글로벌 패권 경쟁 심화…경제 안보 차원 국가 간 AI 동맹의 전략적 모델"

李대통령 "韓, 모범 테스트베드"…올트먼 "韓 없이 AI발전 없어"

올트먼 "韓과 성공스토리 쓰고파, 이득 돌려주겠다"…'조인트 투자' 계획도

(서울)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챗GPT 개발업체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

'세계 인공지능(AI) 3대 강국 달성'을 국정의 핵심 목표로 천명한 이 대통령에게 이번 접견은 이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인을 만나 조언을 구할 소중한 기회로 여겨져 그 의미가 적지 않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특히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참석, 오픈AI와 국내 기업의 협력에 대한 논의도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우선 "제가 챗GPT 유료 구독자"라고 인사를 건네자 올트먼 CEO는 "유료 구독자가 제일 많은 나라가 한국이라는데,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과거 만화에서 보던 것이 현실이 됐다. 인공지능 개발은 금속을 개발하는 것과 같은 엄청난 효과를 가져온다고 한다"며 올트먼 CEO를 향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신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국 AI 대전환 및 AI 생태계 조성 가속화를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오픈AI 간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이재명 대통령, 배경훈 과기부 장관

그러면서 "그 세상은 행복한 세상일 수도 있고, 아주 위험한 세상일 수도 있다"며 "행복한 세상이 되도록 노력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면담에서 올트먼 CEO는 "한국의 세계 최고 제조업 베이스는 AI에 필수적인 산업기반"이라며 "과장이 아니라 한국 없이는 AI를 발전시킬 수 없다"고 언급했다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브리핑에서 소개했다.

결국 AI의 특이점은 메모리칩에 달려 있다는 것이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공감대라는 취지다. 그러면서 올트먼 CEO는 삼성과 SK를 "특별한 파트너"라 표현하며 "인프라 투자를 계속해 우리가 얻은 이득을 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이 대통령이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AI 테스트베드(실험대)가 될 것이다. 한국만한 곳이 없다"고 말하자 올트먼 CEO는 "한국과 함께 엄청난 성공 스토리를 쓰고 싶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를 위한 AI', 'AI 기본사회' 등 한국 정부의 비전과 오픈 AI의 비전 간 유사점과 관련해 "민간 기업이 이를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대단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향후 대규모 투자로 대규모 공장이 신설될 경우 지역균형발전에 부합하는 장소가 고려됐으면 좋겠다는 제안도 내놨다.

이날 이 대통령과의 면담에 앞서 오픈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삼성·SK와 각각 글로벌 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LOI(의향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삼성과 SK는 오픈AI가 추진하는 초거대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합류, 고성능 반도체를 공급한다. 김 정책실장은 "삼성과 SK가 한 달에 생산하는 양과 버금가는 90만개의 웨이퍼를 오픈AI가 2029년 발주하겠다는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이와 별도로 오픈AI는 '조인트 투자'를 통해 SK와 전남에, 삼성과 포항에 데이터센터 구축을 각각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오픈AI와 SK·삼성의 파트너십은 글로벌 시장을 이끌 상생 파트너십"이라며 "국내 기업과 협력해 AI 확산에 핵심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정책실장은 "오늘 대한민국의 두 기업과 오픈AI의 협약, 대통령실에서의 한시간가량 환담은 월드 이벤트라고 본다"며 "글로벌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서 꼭 있어야 할 메모리에 관한 발표가 오늘 이뤄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울러 구글 역시 국내 기업들과 함께 파트너십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한국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AI 관련 정책에 동감하면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소버린AI(국가주도AI)의 역량을 강화할 계기도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오픈AI 샘 올트먼 대표의 접견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재계 총수들의 인사말도 이어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미리 준비해 온 종이를 꺼내 들고서 읽겠다고 했고, 이에 좌중에서는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이 회장은 "정부가 앞장서고 기업이 함께 뛴 결과 단기간에 대한민국 AI 인프라 혁신에 커다란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며 "이번 (오픈AI와의) 협력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중심에 서서 글로벌 AI 패러다임을 선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께서 유엔총회서 말씀하셨듯 '모두를 위한 AI' 비전이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아주 중요한 파트너인 올트먼 회장과 함께해 기쁘다"며 "저희도 AI 3대 강국을 위해 SK가 할 수 있는 일들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 AI 인프라 확충의 발판이 되고, 그 발판이 계속돼서 저희가 AI 3대 강국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트럼프 2기 첫해부터 '셧다운'…극단적 정치갈등에 예고된 파국

상대진영 적대시, 협상 여지 좁혀…내년 선거 앞두고 강경노선 대립

쟁점 '오바마 케어', 지지층 간 이해 엇갈려…타협점 찾기 쉽지 않을듯

*연방정부 셧다운 앞둔 미 의사당 전경

(워싱턴)미국 의회에서 30일 연방정부 예산안 처리가 불발되면서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에 들어갔다.

미 상원은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협상 최종일인 이날 7주짜리 공화당의 임시예산안(CR)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55 대 반대 45로 부결됐다.

공화당 임시예산안은 2025회계연도 종료(9월 30일) 이후에도 의회가 2026회계연도 예산안을 논의하는 동안 11월 21일까지 정부를 운용하기 위한 단기 예산안이다.

공화당(53석)이 예산안 통과에 필요한 60표를 얻으려면 민주당(47석)에서 7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민주당이 자체 발의한 임시예산안도 표결에 부쳐졌으나 부결됐다.

이에 따라 10월 1일 0시 1분부터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들어갔다. 정부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한 예산이 끊기면서 공공 서비스 영역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방정부 셧다운은 직전 셧다운(2018년 12월 22∼2019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만이다.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은 "영향을 받게 될 기관들은 대응 계획을 이제 실행해야 한다"며 연방 공무원들이 1일 출근해 "질서 있게 셧다운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와 민주당은 이날 셧다운 책임을 서로에게 돌리며 여론전을 본격화했다. 트럼프는 "민주당이 셧다운을 원한다"며 민주당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셧다운이 되면 해고를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의 해고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나라도 불법 이민자들과 이 나라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에게 의료복지를 제공하기 위해 비용을 댈 여력이 없다"며 "그런데 민주당은 그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이 오바마 케어(ACA·Affordable Care Act) 보조금 지급 연장 등을 주장하며 공화당이 제출한 7주짜리 임시예산안 처리에 반대하는 점을 겨냥한 것이다.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셧다운이 몇 시간밖에 남지 않았고, 우리가 원하지도 않고 미국 국민들도 원하지 않는 상황인데, 대통령은 마치 10살짜리 아이처럼 인터넷에서 장난을 치느라 바쁘다"라고 말했다.

슈머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정부가 셧다운되면 미국 국민들은 그(트럼프)를 비난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cnn.com/politics/live-news/government-shutdown-us-congress-10-01-25...

…………………………………………..

美셧다운에 항공편 결항·지연 가능성…자유의여신상 폐쇄될수도

관제사 등 무급 근무하지만 차질 예상…국립공원은 대거 운영 중단될듯

*미국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에 돌입함에 따라 미국 여행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CNN 방송은 셧다운으로 인해 해외에서 오는 미국 방문객들이 여행에 상당한 차질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비행기 운항은 계속되지만,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결항하는 등 차질을 빚는 일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항공교통 관제사와 공항 보안 검색을 담당하는 교통안전청(TSA) 직원들은 필수 인력으로 분류돼 셧다운 기간에도 근무하지만 급여는 지급되지 않는다. 교통부가 지난 3월 공개한 계획안에도 항공교통 관제사 1만3천여 명은 셧다운 기간에 무급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돼 있다.

무급 근무이다 보니 인력 부족 문제가 불거질 수 있고, 이는 항공편 혼란과 보안 검색 대기시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의 1기 행정부 당시 셧다운이 진행중이던 2019년 1월에는 관제사 10명이 한꺼번에 병가를 내 뉴욕 라과디아 공항의 운항이 일시 중지됐고, 이 여파로 뉴저지·필라델피아·애틀랜타 등 주요 허브 공항에서도 지연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이 사건은 당시 셧다운의 종식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항공운항에 차질이 빚어지자 당시 의회와 강하게 대립했던 트럼프도 임시 예산안에 동의할 수밖에 없게 됐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항공청이 2025년 새로 채용한 관제사 2천여 명에 대한 교육 훈련도 셧다운 기간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주요 관광지로 꼽히는 애리조나주 그랜드캐니언을 비롯한 국립공원들도 상당수 문을 닫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리조나주 정부 관계자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발생할 때 그랜드캐니언 운영 비용을 주 정부가 감당할 수는 없다고 CNN에 말했다. 국립공원관리청(NPS)이 운영하는 '자유의 여신상'도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CNN은 설명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1143600009?section=international/all&site=topnews02...

…………………………………………..

李대통령, '외압폭로' 박정훈 대령에 직접 훈장…朴 "충성 다할 것"

국민대표들과 함께 한 첫 국군의날…6·25 참전 95세 간호장교 손 잡고 입장

프롬프터 대신 종이원고 넘기며 연설…열병차량 올라 軍 사열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박정훈 해병 대령에게 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서울)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맞은 1일 국군의날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3군(軍) 지휘부가 위치한 충남 계룡대를 찾았다.

이 대통령은 이곳에서 국민에게 신뢰받는 군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검은 양복에 회색과 녹색이 섞인 넥타이를 맨 이 대통령은 6·25 전쟁에 간호장교로 참전한 95세 이종선 씨와 해군 UDT 하사로 전역한 산악인 엄홍길 씨 등 국민대표 7명과 동반 입장했다.

곽기호 국방인공지능기술연구원장, 11명의 군 복무자를 배출해 병역 명문가로 대통령 표창을 받은 이상문 씨, 아들 3명을 육·해·공군 장교로 키운 박범진·나선림 부부, 항일의병 임병찬 선생의 후손인 19세 차세연 씨도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흰색 군복을 입은 고령의 이종선 씨 손을 잡고 그의 보폭에 맞춰 천천히 걸어 들어온 뒤 이씨를 단상 위 자신의 옆자리에 안내하며 예우했다. 다른 국민대표들도 단상에 이 대통령과 함께 자리해 행사를 지켜봤다.

단상 뒷벽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군'이라는 문구가 크게 적혀있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군의날 기념식에 국민대표들과 함께한 것은 군 통수권자로서 12·3 계엄 사태를 극복하고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대표는 유공 여부와 사회 기여 등을 고려해 내부 심의를 통해 선정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함께 열병 차량에 올라 연병장을 한 바퀴 돌며 도열한 군을 사열했다. 국군 통합군악대, 육군, 해군, 육군·공군 의장대, 통합기수단, 해군·해병대 의장대, 공군, 해병대, 통합미래제대, 장비부대 등의 순서로 사열했다.

부대별로 사열할 때마다 이 대통령은 장병들에게 거수경례로 화답했고, 통합기수단을 사열할 때는 왼쪽 가슴에 손을 얹기도 했다.이 대통령은 이어 '한국형 3축 체계' 핵심 전력기술이 적용된 무기 체계, 유·무인 복합 무기체계 등을 둘러봤다.

사열 후 이 대통령은 해병대 '채상병 사건' 당시 상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온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했다. 이 대통령이 훈장증을 건네고 가슴에 훈장을 달아주자 박 단장은 거수경례하며 "충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열병차량에 탑승해 거수경례하고 있다.

기념사에 나선 이 대통령은 "우리 군이 민주공화국의 군이자 국민의 군대로 새롭게 태어나는 길에 적극 동참해달라"며 "나라를 지키는 일은 곧 국민을 지키는 것이고, 군인 최고의 덕목이자 가치인 명예도 바로 국민 신뢰에서 나온다"고 국민과 함께하는 군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뜻을 거듭 피력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날 프롬프터를 쓰지 않고 흰색 A4 종이에 적힌 원고를 넘기며 연설하는 모습이 포착돼 눈길을 끌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연설 직전까지 원고를 직접 수정하는 편이고, 현장 상황에 따라 글자가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어 프롬프터보다는 종이 원고를 더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후 군의 태권도 시범, 소형 무장 헬기 조종 전술 시범,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비행 등을 지켜본 뒤 국민대표 및 군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1095300001?section=politics/president…

……………………………………………

<토론토 캐비지타운서 총격사건 등 사건사고 이어져>

*총격사건이 발생한 토론토 캐비지타운 현장

어제(화) 밤 9시 30분경 토론토 Cabbagetown 지역(Wellesley and Bleecker streets)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 30대 남성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현장 목격자에 따르면, 용의자는 바비큐를 하던 일행에게 접근해 피해 남성을 향해 총격을 가한 뒤 도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용의자 신원이나 인상착의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09/30/man-rushed-to-hospital-in-cabbagetown-shooting/...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Next
Next

ROM에서 맞이하는 특별한 추석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