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A 또 기상주의보… ‘Child-care 하루 19불’ 온주-연방 1년 연장 합의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눈이 내리는 하이웨이 400

*<GTA에 다시 Winter weather travel advisory 발령>

광역토론토 지역에 다시 기상 주의보가 발령됐다.

연방 기상청은 11일(화) 오전 눈폭풍으로 인해 출근길 운전자들의 안전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특히 강한 눈과 급격한 시야 저하로 특히 400번 고속도로 동쪽 지역의 교통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운전자들에게 감속 운전을 당부했다.

이번 기상 주의보는 지난 주말 동안 최대 10cm의 눈이 내리며 토론토를 강타한 폭설 이후에 나온 것으로, 이는 50년 만에 가장 이른 5cm 이상 적설 기록이었다.

이 폭설로 GTA 전역에서 수백 건의 교통사고와 대중교통 지연이 발생했다.

화요일 오전 중에는 눈이 그칠 전망이며, 낮 기온은 4°C까지 오르고 저녁에는 60% 확률로 다시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다. 수요일에는 기온이 7°C까지 상승하며 눈이 비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11/11/toronto-winter-weather-travel-advisory-tuesday-november/...

……………………………………………..

Child-care 하루 19달러’ 온타리오-연방 1년 연장 합의

*광역토론토의 한 어린이집 모습

온타리오주와 연방정부가 ‘하루 10달러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1년 연장 합의를 체결해, 부모들이 최소 1년간 하루 평균 19달러의 보육료(child-care)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기존 협약은 2025년 3월 31일 종료 예정이었으며, 이번 연장에는 연방정부의 추가 지원금 6억9500만 달러가 포함됐다.

다만 이 금액은 요금을 10달러로 더 낮추기에는 부족하다고 폴 칼란드라 온주 교육장관이 밝혔다. 칼란드라 장관은 이번 합의를 “좋은 출발점”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현재 구조로는 매년 약 20억 달러의 재정 부족이 발생할 것이라 경고했다.

연방정부의 파티 하지두 고용·가족부 장관은 장기적 협상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으며, 양측 모두 향후 지속적 협의 의지를 보였다.

온주정부는 연방과의 협정에서 영리 보육시설 비율 제한이 신규 공간 확충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필 지역에서는 2,000개 이상의 영리 시설 공간이 배제된 바 있다.

칼란드라 장관은 연방정부가 이 문제를 논의할 의향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전하며 “과거보다 훨씬 진전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온타리오는 2026년까지 86,000개의 신규 보육 공간을 마련하기로 했지만, 2024년 말 기준 중간 목표의 약 75%만 달성했다.

조기유아교육사(ECE) 인력도 목표치에 미달하며, 필요한 추가 인력이 10,0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임금 인상 및 보상체계(임금 그리드) 도입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하지두 장관은 이에 대해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안 모색에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11/11/ontario-feds-agree-to-1-year-child-care-extension-average-fee-to-stay-19-day/...

……………………………………………..

캐나다 백신접종 줄자 홍역 확산…30년 청정국 지위 상실

미국도 내년 1월까지 감염 차단 못하면 청정국 박탈

*토론토의 한 건강센터에 세워져 있는 홍역 유행 관련 포스터

캐나다가 12개월 연속으로 홍역 바이러스 유행을 억제하지 못해 홍역 퇴치 국가 지위를 상실했다.

10일 세계보건기구(WHO) 미주 본부인 범미보건기구(PAHO)는 30년간 '홍역 청정국'이었던 캐나다가 청정국 지위를 잃었다고 발표했다.

캐나다에서는 작년 10월부터 홍역이 유행했다. 올해 5천명 이상의 환자가 보고됐고, 대부분은 온타리오주, 앨버타주에서 발생했다.

환자 대부분은 백신 접종률이 떨어지는 지역에서 나왔다. 캐나다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인 캘거리를 포함하는 앨버타주 남부 지역은 작년 기준으로 2세 미만 아동의 홍역 예방 접종률이 68%에 불과하다.

면역학자인 던 보디쉬는 의사를 자주 볼 수 없는 환경, 자신의 예방접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국가 시스템의 부재, 허위정보 확산 등을 예방 접종률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청정국 지위는 현재 유행 중인 홍역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소 12개월간 억제할 때 회복된다. 캐나다와 국경을 접한 미국도 조만간 홍역 청정국 지위를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유타주와 애리조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를 중심으로 올해 1천681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내년 1월까지 전염을 막지 못하면 퇴치 국가 지위를 상실한다.

미주 대륙은 2016년에 세계 최초로 홍역 청정지역으로 선포된 바 있다. 이후 남미 베네수엘라와 브라질에서 홍역이 발생했으나, 두 나라는 작년에 수백만 명이 백신 접종을 받으면서 다시 홍역 퇴치 지위를 회복했다.

하지만 이후 홍역은 북미로 확산했고, 캐나다와 미국 외에도 멕시코에서도 환자가 급증세다.

홍역은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이며, 주된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이 있다.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https://www.ctvnews.ca/health/article/this-was-predictable-what-will-it-take-for-canada-to-get-back-its-measles-elimination-status/...

………………………………………….

美상원서 '셧다운 종료' 예산안 통과…12일 하원서 표결

민주 중도파-공화당 타협안 도출한지 하루만에 상원 문턱 넘어

트럼프 "매우 좋은 합의"…하원표결·대통령서명 거치면 역대최장 셧다운 끝

*미 워싱턴DC의 의사당 건물 모습

(워싱턴)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지)을 끝내기 위한 임시예산안이 10일 상원 문턱을 넘었다. 이날로 41일째 이어진 셧다운은 임시예산안에 대한 하원의 최종 승인과 트럼프의 서명을 거쳐 종료될 가능성이 커졌다.

상원은 이날 밤 열린 본회의에서 연방정부 임시예산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해 찬성 60표, 반대 40표로 가결했다.

이번 셧다운은 건강보험개혁법(ACA·Affordable Care Act·일명 오바마케어)에 따른 보조금 지급 연장을 둘러싼 공화·민주당의 이견으로 상원에서 임시예산안 처리가 불발되며 지난달 1일 시작됐다.

셧다운 국면에서 이날 이전까지 총 14차례 표결이 이뤄진 임시예산안은 양당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번번이 가결 정족수(찬성 60표)를 채우지 못했다.

그러나 중도 성향 민주당 의원 8명(친민주 무소속 1명 포함)이 공화당으로부터 '오바마 케어' 보조금 연장에 대한 상원 표결 보장, 셧다운 이후 해고된 공무원들의 복직 등을 약속받고 예산안에 찬성하면서 셧다운 사태가 급반전을 맞았다.

최종 표결에 앞서 전날 상원에서 이뤄진 '절차 표결'에서 찬성 60표, 반대 40표로 가결되며 임시예산안을 처리할 길이 열렸다.

민주당 쪽 의원 8명이 공화당과 합의한 것은 내년 1월 30일까지의 연방정부 임시예산안과 초당적 합의가 이뤄진 부처 및 정부 프로그램에 대한 2026회계연도 예산안 3건이다.

남은 하원의 승인 절차도 공화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통과가 예상된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하원의원들에게 즉각 워싱턴DC로 복귀하라고 요청한 상태다. 하원 표결은 이르면 오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트럼프 역시 이번 합의안에 대해 "매우 좋다"며 "합의를 따를 것"이라고 이날 언론에 밝혔다. 이번 셧다운은 이달 5일부로 종전 최장 기록(35일)을 뛰어넘으며 역대 최장 셧다운 기록을 세웠다.

항공관제사 인력 부족으로 항공편 운항이 감축돼 미국 주요 공항에서 항공편이 줄줄이 취소되거나 지연되고 있다. 저소득층 4천200만명을 대상으로 한 식비 지원 프로그램(SNAP) 등도 재정 고갈 위기에 처했다.

https://www.cnn.com/2025/11/10/politics/senate-vote-government-shutdown-funding…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

*ROM 한국관 상설 한인큐레이터 확보를 위한 기금 모금 캠페인

Next
Next

美 지방선거 민주당 싹쓸이…캐나다 역대급 확장 재정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