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에 미국대학교수 3명…오늘 캐-미 정상회담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 왼쪽부터 존 클라크(영국) UC 버클리 교수, 미셸 드보레(프랑스) 예일대 교수, 존 마티니스(미국) UC 샌타바버라 교수
올해 노벨물리학상에 '차세대 양자기술 디딤돌' 3인
양자역학 거시적 효과 발견…양자 컴퓨터·암호·센서 등 기반
영국 존 클라크·프랑스 미셸 드보레·미국 존 마티니스
클라크 "어떤 면에선 양자 컴퓨팅 기반…어디 들어맞는지 불확실"
2025년 노벨물리학상은 거시 규모에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연구한 공로로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등 3인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원자 수준의 미시 규모에서 적용되는 양자역학의 효과가 미시 세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회로 등 거시적 규모에서도 드러나는 것을 연구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거시적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전기회로에서의 에너지 양자화의 발견"의 공로를 인정해 이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다고 7일 발표했다.
올해 수상자들의 재직 기관은 모두 미국 대학들이다. 클라크 교수는 현재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에, 드보레 교수는 예일대와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 샌타바버라)에, 마티니스 교수는 UC 샌타바버라에 각각 재직중이다.
클라크는 194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드보레는 1953년 프랑스 파리에서 각각 태어났으며 마티니스는 1958년생이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발표를 시작하면서 이들의 업적을 '새로운 규모에서 양자역학을 접하도록 한 연구'라고 요약했다.
위원회는 "물리학의 주요 질문 중 하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의 최대 크기"라며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전기 회로로 실험을 해서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양쪽 모두를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큰 시스템에서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양자역학적 효과는 원자나 전자 등 미시 규모에서는 잘 드러나지만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거시 규모에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번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양자 터널링'이나 '에너지 양자화' 등 양자역학으로만 규명되는 효과가 미시적 차원뿐만 아니라 거시적 차원에서도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전기회로가 설치된 칩을 이용해 보여줬다.
올해 수상자들의 실험은 1984년과 1985년에 이뤄졌다고 위원회는 밝혔다. 위원회는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다음 세대의 양자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회를 제공해 줬다"며 양자 암호, 양자 컴퓨터, 양자 센서 등을 차세대 양자 기술의 예로 들었다.
올레 에릭손 노벨물리학위원회 위원장은 "(나온 지) 한 세기가 된 양자역학이 계속해서 새로운 놀라움을 주고 있다"며 "또한 엄청나게 유용하기도 하다. 양자역학은 모든 디지털 기술의 기초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올해 수상자 3명의 업적에 대해 미국물리학협회(AIP)의 회원 월간지 '피직스 투데이'의 리처드 피츠제럴드 편집장은 "우리가 볼 수 없고, 만질 수 없고, 느낄 수 없는 그 무엇인가의 스케일을 키워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스케일로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뭔가 다른 것을 할 수 있는 기반으로 삼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8일 화학상, 9일 문학상, 10일 평화상, 13일 경제학상으로 이어진다.
……………………………………….
마크 카니-도널드 트럼프 오늘 두번째 회담
교착상태 관세협상 돌파구 기대 불구, 타결은 쉽지 않을듯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와 오늘 미국 워싱턴에서 두 번째 회담을 갖는다.
이번 회담은 캐나다가 미·캐 무역협정(CUSMA) 내에서 관세 완화 방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열리며, 트럼프는 여전히 ‘미국 우선주의’와 고율 관세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많은 캐나다 기업들이 미국으로 이전하고 있다”며 관세 철회 의사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의 디지털세 폐지, 보복 관세 철회, 국방비 증액 등 다수의 양보를 내놓았으나, 미국은 여전히 철강·알루미늄·자동차·구리 등 다양한 품목에 최대 35%의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는 오는 11월 1일부터 중대형 트럭에 25%의 추가 관세를 예고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관세 정책을 ‘승리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어 단기간 내 변화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정치·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 합의가 도출되기 어렵더라도, 카니 총리가 미국과의 직접 협상 테이블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는 내년 CUSMA 재검토를 앞두고 캐나다가 장기적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라는 분석이다.
………………………………………..
이재명 대통령 "때론 간·쓸개 다 내주더라도 국민 삶에 조금이라도…"
"민생 현실 녹록지 않아"…"국민 세심히 살피는 게 대통령의 가장 큰 책무"
李대통령 부부 출연에 역대 최고 시청률…JTBC '냉부해' 8.9%
추석 메시지 전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메시지를 통해 "국민 여러분을 세심히 살피는 것이 대통령의 가장 큰 책무"라며 “명절의 즐거움을 온전히 누리기에는 민생 현실이 녹록지 않지만, 사랑하는 이들과 서로를 응원하고 희망을 이야기하는 명절이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서울)이재명 대통령은 7일 "때로는 간과 쓸개를 다 내어주고, 손가락질과 오해를 감수하더라도 국민의 삶에 한 줌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면 무엇이든 마다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인스타그램과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글에서 "국민 여러분의 오늘과 민생의 내일을 더 낮은 마음으로, 더 세밀히 챙길 것을 다시 한번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정치 철학이나 진영 등에 개의치 않고 오로지 국민 삶의 개선만을 보고 정국을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부각한 언급으로 해석된다. 특히 대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숙이는 듯 '간과 쓸개를 내어주더라도' 절대 국익을 포기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가전산망 먹통 사태 와중의 요리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 녹화 논란으로 야권을 중심으로 비난이 거세지만, 민족 최대 추석 명절을 맞아 짬을 낸 K푸드 홍보 취지였던 만큼 비판을 감내하겠다는 점 역시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각자의 자리에서 각기 다른 환경과 상황을 마주하며 살아가는 국민 여러분을 세심히 살피는 것이 대통령의 가장 큰 책무임을 명절을 맞아 다시금 새겨본다"고 했다.
또 "이번 추석 인사에서도 말씀드렸듯 명절의 즐거움을 온전히 누리기에는 민생의 현실이 결코 녹록지 않다"며 "'그럼에도' 사랑하는 이들과 서로를 응원하고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었으면, '그럼에도' 웃으며 함께 용기를 나누는 시간이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 부부가 추석 연휴 특집으로 출연한 JTBC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이하 냉부해)가 9%에 육박하는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시청률 조사 회사 닐슨 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방영된 JTBC '냉부해' 본 방송 시청률은 8.9%(전국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4년 첫선을 보인 '냉부해'의 시즌 1, 2를 통틀어 역대 최고 시청률이다. 이전까지 최고 기록은 2015년 8월 가수 지드래곤과 태양이 출연한 회차(7.4%)였다.
이날 방송은 이 대통령 부부의 취임 후 첫 예능 출연으로 화제를 모았다.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는 K-푸드를 홍보하기 위해 예능 출연을 결심했다며 냉장고를 공개하는 대신 한우, 시래기, 더덕, 무 등 우리 제철 식재료를 소개했다.
*JTBC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한 이재명 대통령
이 대통령은 "K팝이나 드라마 같은 문화도 중요하지만, 진짜 문화의 핵심은 음식"이라며 "한국 문화를 수출하는 데 있어 음식은 산업적으로도 대한민국을 키우는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방송에서 이 대통령은 손종원 셰프가 만든 전통 주전부리 4종 '아자아잣' 중 잣을 이용해 만든 타락죽을 먹고 "먹어본 중 제일 맛있다"며 극찬했다.
또 웹툰 작가 김풍이 시래기를 활용해 만든 요리 '이재명 피자'를 맛본 뒤엔 "요리는 장난스럽게 했는데, 맛은 장난이 아니다"라며 깜짝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7018200001?section=politics/all&site=topnews02...
……………………………………….
금값, 첫 4천달러 육박…최고가 행진 속 올해 51% 상승
골드만삭스 "내년말에 4천900달러" 전망치 상향조정
트럼프·경제·지정학적 불확실성 속 안전자산 선호 부각
*런던의 귀금속 거래소 '해턴 가든 메털스'에서 촬영된 금괴 모습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프랑스의 정치위기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 기록을 또 세웠다.
스팟 금 가격은 7일 한때 사상 최고치인 트로이온스(31.1034768g)당 3977.19 달러까지 갔으며, 조금 후인 세계표준시(UTC) 기준 7일 04시 46분의 가격은 전날보다 0.4% 오른 3974.09달러였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은 0.5% 오른 3996.40달러였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 사상 최고가 기록을 수시로 갈아치우며 51% 올랐다. 금 강세 지속을 점쳐 온 골드만삭스 그룹은 최근 2026년 12월 금 가격 전망치를 4300달러에서 4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스팟 은 가격은 48.52달러로 안정세였으며 백금은 0.1% 오른 1626.55 달러, 팔라듐은 0.9% 오른 1330.91달러였다.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업체 오안다(OANDA)의 선임 시장분석가 켈빈 웡은 "10월과 12월 (금리) 인하(에 대해 시장이 점치는 확률)는 여전히 80% 선을 웃돌고 있어서 금 가격을 떠받치고 있으며, 또 이번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금값 상승 요인으로는 트럼프가 시장에 가져온 충격으로 경제적,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한 점,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와 추가 인하 전망, 각국 중앙은행들이 비(非)달러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기 위한 구매 등이 꼽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제 2주째로 접어드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탓에 미국 경제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데이터들이 발표되지 않아 투자자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는 변화하는 여건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7024900009?section=international/all&site=major_news02...
………………………………………
가자지구 전쟁 발발 2년…이스라엘 곳곳서 추모행사
이스라엘·하마스, 이집트서 이틀째 간접협상
국제사회, 인질 석방·휴전 촉구 목소리 잇따라
*전쟁 발발 2주년을 맞은 가자지구의 참상
가자지구 전쟁 발발 2년을 맞은 7일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이스라엘 곳곳에서 열렸다.
가자지구 접경 크파르아자 키부츠(집단농장)에는 수백 명의 추모객이 모여 공격 시작 시각인 새벽 6시29분을 기해 1분간 묵념하며 하마스 공격 2년을 기억했다.
추모식이 열린 무기 보관소에서 주민 대표들은 연설을 통해 아직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쌍둥이 주민 지브·갈리 버먼을 언급했다. 이날 오전 11시에는 이스라엘 남부 레임 키부츠 인근 노바 음악 축제 현장에서 수십 명의 유가족들이 추모식을 열었다.
가장 큰 피해를 본 니르오즈 키부츠에서는 오후 6시에 추모식이 열릴 예정이고, 오후 9시30분에는 텔아비브 하야르콘 공원에서 유가족 추모식이 이어진다. 추모 행사는 정부가 아닌 유가족들이 주관한다. AP통신은 이를 베냐민 네타냐후의 지도력에 대한 깊은 분열을 반영한 것이라고 짚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초막절 종료 직후 안식일이던 정확히 2년 전 이날 이스라엘 남부 곳곳을 기습 공격해 약 1천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인질로 끌고 갔다. 아직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은 현재 48명(생존자 20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전날 이집트 휴양 도시 샤름엘셰이크에서 트럼프가 제시한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따라 인질 석방과 휴전을 위한 간접협상을 시작했다.
카타르·이집트·미국 등의 중재로 진행된 첫날 협상이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마무리됐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한 가운데 양측은 이날 오후 추가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모든 인질의 즉각적인 석방과 휴전을 촉구하는 세계 주요 지도자들의 목소리도 잇따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성명에서 "인질들을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석방해 모든 이의 고통을 끝내라"며 "가자지구에서의 적대 행위를 지금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도 "모든 인질의 즉각적인 석방과 휴전이 손에 닿을 만큼 가까워졌다"며 "이 순간을 놓치지 말고 '두 국가 해법'에 기반한 지속적인 평화의 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자지구를 겨냥한 이스라엘의 공격은 이날도 이어졌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날 지난 2년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보복 공격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사망자를 6만7천74명으로 집계했다.
가자지구 보건부는 사상자 집계 시 민간인과 전투원을 구분하지 않지만, 사망자의 약 절반이 여성과 어린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엔 등은 이 수치를 신뢰할 만한 추정치로 본다.
https://www.cnn.com/world/live-news/israel-hamas-gaza-war-10-07-25...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충남 대전/ 고려대 영문과/ 해병대 장교(중위)/ 현대상선/ 시사영어사(YBM) 편집부장/ 인천일보 정치부장(청와대 출입기자)/ 2000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토론토 중앙일보 편집부사장/ 주간 부동산캐나다 사장)